학술논문
코로나19 상황 속 피클볼 참여자들의 여가제약 및 여가촉진 경험
이용수 51
- 영문명
- Experiencing Leisure Constraints and Facilitators: Perspectives of Pickleball Participants
- 발행기관
- 한국여가문화학회
- 저자명
- 임수아(Im, Sua) 이록빛(Lee, Rokbit) 허진무(Heo, Jinmoo)
- 간행물 정보
- 『여가학연구』제20권 제4호, 149~16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피클볼 동호회에 참여하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코로나19 기간 동안 그들이 경험한 여가제약과 촉진 경험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피클볼 동호회에서 활동하고 있는 동호회원 11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자료를 수집 후 질적연구방법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주제 2개, 하위주제 4개가 도출되었고, 주제와 하위주제는 새로운 스포츠로서의 여가 경험(걸림돌을 이겨내기, 참여로 이끄는 원동력)과 코로나19 상황 속에서의 여가 경험(규제와 적응, 몰두할 수 있는 기회)이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피클볼 동호회원들이 경험하는 여가제약과 촉진은 피클볼이라는 종목 특성에 기인하고 있었다. 둘째, 피클볼 동호회원들은 코로나19와 관련하여 여가제약과 촉진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들은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피클볼 참여에 대한 제약에 협상하고 촉진을 받아들이며 여가 스포츠 활동을 지속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에 연구가 부족했던 여가 참여과정에서 조건으로서 여가제약과 여가촉진이 작용하는 양상을 확인함으로써 여가활동을 증진하는 데 종합적인 관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common experience of leisure constraints and facilitato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mong pickleball player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pickleball club members from various regions in Korea.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participants. Analysis revealed two central themes and four sub-themes: leisure experiences as new sports (overcoming obstacles, motive force of participation) and leisure experiences during COVID-19 (restrictions and adaptation, opportunity to fully engage).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leisure constraints and facilitators were caused by characteristics of new sports, and pickleball players experienced leisure constraints and facilitators related to COVID-19. During the pandemic, pickleball players were able to continue their activity by negotiating with constraints and accepting facilitators. Our findings identified an interaction between leisure constraints and facilitators, thereby providing comprehensive perspective of promoting leisure activi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요약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AM을 활용한 골프 데이터 수용의도: 클럽 피팅센터 중심으로
- 여가만족이 직무열의를 매개로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태권도 수련 중학생들의 참여 지속을 결정하는 동기요인
- 코로나19 상황 속 피클볼 참여자들의 여가제약 및 여가촉진 경험
- UTAUT2 모형을 적용한 e스포츠 팬 관람의도 및 관람만족의 관계 분석
- 체험경제(4Es) 관점에 따른 실내 스포츠테마파크의 체험즐거움, 만족도 및 재방문의도 간의 관계
-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수상해양 활동이 청소년의 문제해결능력 및 메타인지와 자기조절능력의 관계검증
- 여가시간을 활용한 순음듣기가 알파인 스키선수들의 뇌파활성도, 주의집중유형 및 경쟁 상태불안에 미치는 효과
- DACUM 기법을 이용한 미국 청소년 수영지도자의 직무규명과 한국 생존수영의 교육방향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