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별을 경험한 대학생의 고통감과 이별 후 성장의 관계
이용수 78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ess and Post-traumatic Growth of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e Breakups: The Moderated Mediation of Deliberate Rumination and Coping Flexibility
- 발행기관
- 한국생애학회
- 저자명
- 서은비 강지현
- 간행물 정보
- 『생애학회지』제12권 제3호, 21~3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whether coping flexibility can moderate the mediating effect of deliberate rum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ess and post-traumatic growth of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ed breakups. Online data approximately 330 University students were analyze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deliberate rum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ess and post-traumatic growth was examin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program and PROCESS Macro(v.3.1).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liberate rumination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ess after breakups and post-traumatic growth. Second, coping flexibility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liberat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Third, coping flexibility has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through deliberate ru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ess after breakups and post-traumatic growth. Hense, when distress after breakups leads to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deliberate rumination, high levels of coping flexibility promotes the effect of deliberate rumin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apeutic interventions help to increase the level of coping flexibility required after experiencing a breakup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