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정 및 학교의 자율성 지지 맥락과 아동의 집행기능곤란 및 학업수행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32
- 영문명
-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Home and School Autonomy Support,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Challenges, and Academic Performance
- 발행기관
- 한국생애학회
- 저자명
- 안효진 김수정
- 간행물 정보
- 『생애학회지』제12권 제3호, 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parenting behavior characteristics of mothers and fathers as important social context characteristics for children. Furthermore, the study examined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peers in school could satisfy autonomy. These factors were necessary to verify how parenting behavior characteristics and school social environment affect children’s executive skills. A total of 544 10-year-old children and their parents and homeroom teacher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route model was analyzed for suitability between the mother and father’s autonomy support parenting behavior and the child’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After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verified, the mother’s autonomy support parenting behavior was found to negatively affect the child’s difficulty with executive function. Conversely, the father’s autonomy support parenting behavior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hild’s difficulty with executive function.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supported by school autonomy, negatively affected children’s difficulty with executive function. Finally, this study found that difficulties in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negatively affected their academic performance. This study is notable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on improving children’s academic performance by incorporating children’s autonomy support at home and school when assessing their execution functional difficulties and academic performa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