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멀티미디어 영상자료 활용 초등영어 문화교육 효과 연구
이용수 128
- 영문명
- The Effect of Multimedia Materials for Cultur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English Classe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뇌·AI기반교육연구소
- 저자명
- 박성은(Seong-eun Park) 이동주(Dong Ju Lee)
- 간행물 정보
- 『Brain, Digital, & Learning』제12권 제3호, 423~44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pplication of multimedia materials for cultur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English classes. To this end, this study investigates to what extent the culture education contents of the 2015 revised elementary English textbooks reflect the cultures of different countries followed by developing lesson plans incorporating English multicultural multimedia materials based on their relevance to elementary English vocabulary using the corpus program, RANGE. The researcher conducted classes using the developed lessons and observed students’ reactions while teaching. In addition, pre- and post-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students were carried out to examine students’ affective chang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culture covered in elementary school English textbooks were biased toward Asian, English, and European cultures, and the volume of Latin American and African cultures was relatively small. Second,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positive changes towards the selected multimedia material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rd, both teachers and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were interested in culture learning, and it would help them learn English. Based on the results,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cultures of various countries as well as Asian, British, and American cultures in elementary English textbooks. Additionally, culture education, which focused on the introduction of simple culture in the existing textbooks, needs to arouse more interest by using an integrated approach to the subject and learner-led activities. Lastly, when developing and utilizing multimedia materials for cultur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learners, it is imperative to design and apply classes including activities and tasks that can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목차
Introduction
Theoretical Background
Research Method
Results and Discussions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Acknowledgement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학 표상에 따른 학업성취도와 인지양식별 뇌 활성 비교 - fNIRS 연구
- 대면 및 대면 수업 상황에 따른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교수 모델(CoProC)의 적용이 특성화고 학생들의 인성 역량과 과학의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 과학연구자의 인지편향 조절을 위한 개별화 웹기반 교육 프로그램 개발
- 고교학점제에 활용 가능한 시스템 사고 적용 탐구 모듈 개발 및 효과 분석
- 멀티미디어 영상자료 활용 초등영어 문화교육 효과 연구
- 중학교 자유학기를 위한 혼합학습 기반 주제선택 프로그램 개발
- 고등학교 학생의 자기조절 학습전략 유형 탐색
- 초등학생의 모델 확정 과정에 대한 특징 분석
- 물리 용어 친숙도와 물리 단원에 따른 학생들의 뇌활성화 특성 연구
- 코어 안정성 트레이닝이 대학생의 기능적 움직임 수행에 미치는 효과
- 대면·비대면 전환 가능한 생명과학 수업이 고등학생의 개념 인식 변화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아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부모의 지도와 유아의 미디어 규칙 준수의 관계에서 미디어 조절력의 매개효과: 2023 어린이 미디어 이용 조사 데이터를 중심으로
- 유아 자아탄력성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유아 디지털 놀이에 나타난 디지털 시민성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