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명인의 추천·보증된 SNS 건강기능식품광고에 대한 소비자 태도 연구
이용수 131
- 영문명
- A Study on Consumer Attitudes toward Celebrity's Recommended and Guaranteed SNS Health Functional Food Advertisements - Focusing on in-depth interviews based on grounded theory
- 발행기관
- 한국광고PR실학회
- 저자명
- 최미연(Miyeon Choi) 심성욱(Sung Wook Shim)
- 간행물 정보
- 『광고PR실학연구』제15권 제3호, 115~150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코로나19 펜데믹 이후 소비자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SNS를 매개한 유명인의 추천·보증 광고가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으로 활용되고 있다. 유명인의 추천·보증된 SNS 광고는 표시광고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을 따르게 되어 있다. 그러나 유명인의 추천·보증된 SNS 건강기능식품광고의 경제적 이해관계 미표시로 인해 소비자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우려에 따라 정책적 보안을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근거이론(grounded theory)에 기반해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여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로는 첫째, SNS 유명인의 추천·보증광고 중 광고 표시를 하지 않아 발생하는 피해에 대한 소비자를 위해 적절한 피해 구제 기관 및 정책 마련이다. 둘째, 유명인의 추천·보증광고와 일반 후기 형태의 광고를 혼동하지 않을 수 있도록 세분화된 광고 표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소비자가 구매 전 충분한 정보의 획득의 관점에서 이용후기를 판단하고 필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다. 마지막으로 광고 모델로써 제품 및 서비스를 판매하고, 소득을 창출하는 유명인의 사업자등록 의무화를 추진 해야 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유명인의 추천·보증된 SNS 건강기능식품광고 규제의 개선방안 도출에 정책적, 실무적 함의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As consumers' interest in health has increased since the COVID-19 pandemic, advertising for celebrity recommendations and guarantees through SNS has been used as an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SNS advertisements recommended and guaranteed by celebrities are subject to the Act on Fair Display Advertising. However, research on policy security is needed due to concerns that consumers might suffer from the lack of economic interests in SNS health functional food advertising recommended by celebrities. On the other hand, in this study,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based on ground theory to derive key results. As a result, the first is appropriate damage relief institutions and policies for consumers for damages caused by not displaying advertisements in SNS celebrity recommendations and guarantees. Secondly, we must be able to present detailed guidelines for displaying advertisements so as not to confuse celebrity recommendation and guarantee advertisements with general later forms of advertisements. Third, it is a system that allows consumers to judge and filter usage reviews from the perspective of obtaining sufficient information before purchasing. Finally, the mandatory registration of celebrities who sell products and services as advertising models and generate income should be promoted.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o provide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SNS health functional food advertising regulations recommended and guaranteed by celebrities.
목차
서론
문헌연구
연구문제
연구방법
연구결과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