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 인식과 임종 간호 스트레스가 임종 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48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Death Perception and Terminal Care Stress on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Nurses Working in Long-Term Care Hospitals: A Cross-Sectional Study
- 발행기관
- 한국노인간호학회
- 저자명
- 김자영(Kim, Ja-Young) 이한이(Lee, Hanyi)
- 간행물 정보
- 『노인간호학회지』제24권 제3호, 269~277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ath perception and terminal care stress on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nurses working in long-term care hospitals.
Methods: The participants included 160 nurses working in 7 long-term care hospitals with more than 150 beds in Gyeonggi Provinc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uly 12 to August 13, 2021. The independent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Of the participants, 126 (78.8%) were women, and 76 (47.5%) had a religion. The mean total clinical experience was 11.48±9.14 years; 80 (50.3%) participants had been involved in 1-18 terminal care nursing sessions, and 87 (54.4%) had been involved in terminal care nursing education. Gender (β=.17, p=.030) and positive death perception (β=.27, p=.001) affected terminal care performance.
Conclusion: A professional and systematic terminal nursing care education program that can facilitate positive death perceptions of hospital nurses is needed, a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pecialized system that considers nursing hospitals’ characteristics. In addition, research on terminal care performance targeting male nurses in hospitals and the effects of the working environment and health care system of hospitals on the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hospital nurses is suggested.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판 단축형 낙상효능척도
- 체력강화 운동 프로그램이 파킨슨병 노인 환자의 체력, 우울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 한국어판 치매 행동관리기술 측정도구(K-BMS)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 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 인식과 임종 간호 스트레스가 임종 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역량 예측요인
- COVID-19 시대 재가노인의 삶의 의미와 늙어감에 대한 행복감의 관계에서 건강행위의 매개효과
- 한국 노인의 건강상태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이용변화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를 돌보는 남성, 여성 배우자의 돌봄 경험
- 치매 환자의 배회행동에 대한 비약물적 중재
- 요양병원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 임파워먼트, 간호근무환경이 인간중심돌봄에 미치는 영향
- 한국 노인에서 건강 관련 삶의 질 도구(HINT-8)의 타당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