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체력강화 운동 프로그램이 파킨슨병 노인 환자의 체력, 우울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366
- 영문명
- Effect of a Physical-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on Physical Fitness,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in Older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A Cross-Sectional Study
- 발행기관
- 한국노인간호학회
- 저자명
- 배은숙(Bae, Eun Sook) 강혜승(Kang, Hye Seung)
- 간행물 정보
- 『노인간호학회지』제24권 제3호, 278~290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a physical-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on physical fitness,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in older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PD).
Methods: Forty-one PD patients who were recruited from D University hospital in B Metropolitan City were alloca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n=21) and control group (n=20). Participants completed the physical-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2 times a week for 12 week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we administered a senior fitness test (SFT), the depression scale (the Korean version of the Montgomery-Asberg depression rating scale, MADRS-K), and cognitive function scale (the Korean version of the Alzheimer’s disease assessment scale, ADAS-K). The data were analyzed by repeated measures ANOVA.
Results: The physical-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was effective as indicated by significant improvement in physical fitness, cognitive function, but not depression in participants.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e physical-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will be a valuable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to promote physical fitness and cognitive function in older patients with PD. In addition, this intervention may be used to alleviate the risk of gait disturbance and falls due to PD.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판 단축형 낙상효능척도
- 체력강화 운동 프로그램이 파킨슨병 노인 환자의 체력, 우울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 한국어판 치매 행동관리기술 측정도구(K-BMS)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 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 인식과 임종 간호 스트레스가 임종 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역량 예측요인
- COVID-19 시대 재가노인의 삶의 의미와 늙어감에 대한 행복감의 관계에서 건강행위의 매개효과
- 한국 노인의 건강상태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이용변화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를 돌보는 남성, 여성 배우자의 돌봄 경험
- 치매 환자의 배회행동에 대한 비약물적 중재
- 요양병원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 임파워먼트, 간호근무환경이 인간중심돌봄에 미치는 영향
- 한국 노인에서 건강 관련 삶의 질 도구(HINT-8)의 타당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들의 안전교육 필요성에 관한 조사
- 성인의 비자살적 자해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노인의 디지털 접근성과 사회적 고립 간의 관계: 2023 노인 실태조사 기반 분석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The maxillary vein: an anatomical narrative review with clinical implications for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Anatomical variations of the infrahyoid muscles and ansa cervicalis: a systematic review and an updated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omohyoid muscle
- Aberrant rib cage anatomy with false ribs attachment to the sternum: review of the literature focused on slipping ribs syndrome case repor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