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를 돌보는 남성, 여성 배우자의 돌봄 경험
이용수 364
- 영문명
- Caring Experience of Spouse Caregivers of Persons with Alzheimer's Disease: A Qualitative Study
- 발행기관
- 한국노인간호학회
- 저자명
- 이진희(Lee, Jin-Hee) 홍귀령(Hong, Gwi-Ryung Son)
- 간행물 정보
- 『노인간호학회지』제24권 제3호, 257~26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caregiving experiences derived from male and female caregivers whose spouses were diagnosed with Alzheimer’s disease.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to December 2021 through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ith six male and six female spouse caregivers and analyzed based on the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Results: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three categories and six themes were respectively deduced for each group by gender. The results illustrate that the group of males tended to adapt themselves to a new role of caregiving by utilizing external resources and maintaining a positive attitude to continue their duties. The deeper the family members’ trust in them, the greater their motivation to sustain caregiving duties. Female caregivers tended to perceive caregiving as an additional duty to what they had been doing; therefore, they became mentally and physically exhausted. Nevertheless, they reduced stress through socializing with others and performing outdoor activities. Continuously interacting with their spouses also helped them continue caregiving.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a need for understanding a gender difference in caregiving roles and perceptions and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 gender-specific program to support family caregivers. Future studies are warranted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for different roles and responsibilities that might be influenced by the caregiver’s gender and should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판 단축형 낙상효능척도
- 체력강화 운동 프로그램이 파킨슨병 노인 환자의 체력, 우울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 한국어판 치매 행동관리기술 측정도구(K-BMS)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 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 인식과 임종 간호 스트레스가 임종 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역량 예측요인
- COVID-19 시대 재가노인의 삶의 의미와 늙어감에 대한 행복감의 관계에서 건강행위의 매개효과
- 한국 노인의 건강상태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이용변화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를 돌보는 남성, 여성 배우자의 돌봄 경험
- 치매 환자의 배회행동에 대한 비약물적 중재
- 요양병원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 임파워먼트, 간호근무환경이 인간중심돌봄에 미치는 영향
- 한국 노인에서 건강 관련 삶의 질 도구(HINT-8)의 타당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