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리나라 다문화가족정책 현황 및 개선과제에 대한 고찰
이용수 1,841
- 영문명
-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family policy and improvement tasks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복지학회
- 저자명
- 심정미(Jungme Sim)
- 간행물 정보
-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복지와 문화다양성 연구 제4권 제2호, 71~9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한국사회의 다문화가족정책의 현황을 살펴보고 정책의 문제를 통한 개선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먼저, 우리나라 다문화가족정책과 관련된 개념과 현황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다문화가족정책의 주요 내용과 이와 관련된 관련 법이나 제도를 정리하고, 해외의 다문화정책에 대한 사례를 살펴보았다. 다문화가족정책의 현황을 바탕으로 개선방안에 대한 쟁점을 고찰하였고, 우리나라 다문화가족정책의 발전을 위한 쟁점별 개선과제를 제시하면서 마무리하였다.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 이주노동자, 중도입국청소년 등 다양한 외국인이 유입되면서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한국의 다문화정책에 대한 정책적 제언과 실천적 함의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family policy in Korean society, which has entered a multicultural society, and to suggest improvement tasks through policy problems. To achieve this goal, first, the concept and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family policy in Korea were examined. Next, the main content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policy and related laws and systems are summarized. In addition, we looked into multicultural policies abroad.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family policy, the issue of improvement measures was considered, and improvement tasks for each issue were presented for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family policy in Korea.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policy sugges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policies, which are increasing due to the influx of various foreigners such as marriage migrant women, migrant workers, and mid-immigrant youth.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이론적 배경
Ⅲ. 다문화가족정책 주요 내용
Ⅳ. 다문화가족정책의 쟁점 고찰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출생 미신고 아동 사태가 보호출산제 시행에 미친 영향과 베이비박스의 역할 분석
- 사회복지종사자의 우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조절효과
- 직장복귀계획서 제출제도가 산재근로자 직장복귀에 미친 효과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