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평택의 문화다양성과 과제
이용수 368
- 영문명
- The cultural diversity and task of Pyeongtaek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복지학회
- 저자명
- 임봄(Bom Lim)
- 간행물 정보
-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복지와 문화다양성 연구 제4권 제2호,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평택에서는 한국전쟁 당시부터 지역에 자리 잡은 기지촌 여성과 피난민, 수몰 이주민 집단이 있다. 현재는 주한미군기지가 통합되면서 그에 따른 미군과 미군의 가족, 도농복합도시의 특성을 반영하는 고령자와 결혼이주여성, 많은 개발 사업으로 인한 외국인 노동자, 신도시 조성으로 인한 구도심 속 원주민, 북한이탈주민, 장애인, 1인 가구 등 다양한 특징을 가진 집단이 문화다양성의 대상으로 주목된다. 이 논문에서는 평택의 이러한 지역적 특성과 함께 지역을 구성하고 있는 주체들을 살펴보고 지역의 특성을 살린 문화다양성 정책으로 문화 브리콜라주(Bricolage)를 제안했다. 각각의 개성을 충분히 살리면서도 하나로 연대해 자신들의 역할을 해낼 수 있는 문화 브리콜라주는 평택만의 문화다양성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한 민·관·학의 역할과 과제는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영문 초록
Pyeongtaek has been living in the base village women, refugees, and flooded migrants since the Korean War. Currently, as the USFK base is integrated, the group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such as the family of USFK and USFK, the elderly and married immigrant women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and rural complex city, foreign workers due to many development projects, Aboriginal people in the old city due to the creation of new cities, North Korean defectors, disabled people, and single-person household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the objects of cultural diversity. This paper examines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Pyeongtaek and those who make up the area, and proposes a cultural bricolage as a cultural diversity policy that utili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The cultural bricolage, which can play their role in solidarity while making full use of each personality, can be a cultural diversity model of Pyeongtaek, and the role and tasks of civil, government and Academia based on this are considered to be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목차
Ⅰ. 들어가며
Ⅱ. 평택, 개방성과 혼종성의 역사
Ⅲ. 평택의 특성과 문화다양성
Ⅳ. 평택의 문화다양성과 민·관·학 과제
Ⅴ.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출생 미신고 아동 사태가 보호출산제 시행에 미친 영향과 베이비박스의 역할 분석
- 직장복귀계획서 제출제도가 산재근로자 직장복귀에 미친 효과분석
- 사회복지종사자의 우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