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불교 중흥을 위한 청주본 『명심보감』의 불교 이해

이용수  55

영문명
Buddhist ideas in the preface to the Cheongju version of Myongsimbogam of Mind.
발행기관
영남퇴계학연구원
저자명
成海俊(Sung Hae-jun)
간행물 정보
『퇴계학논집』제30권, 209~23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국의 范立本이 1393년 이전에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명심보감』 서문(청주본)에 석가의 가르침 중에서 좋은 말을 모아서 한 권으로 엮어 ‘명심보감’이라고 하였다는 언급이 있다. 이 말처럼 원본 『명심보감』 서문을 비롯하여 본문에서 ‘方便과 선행, 인과응보, 知足安分’ 등 불교사상과 관련된 내용이 적지 않다. 그뿐만 아니라, 부처님의 慈悲와 功徳을 찬양하는 원색적인 불교 용어와 불교사상이 포함된 내용이 인용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한국에서 통용되고 있는 『명심보감』 판본에는 불교적 용어를 전혀 찾아볼 수 없다. 이는 조선시대 중기 이후 원본 ‘청주본’이 자취를 감추고 난 후 간행된 ‘초략본’에서 불교적인 내용을 의도적으로 삭제하여 󰡔명심보감󰡕의 유교화를 시도한 탓이다. 그 때문에 현재 학계에서도 『명심보감』의 유불도 3교 합일 사상을 언급하고는 있으나 불교사상과 관련한 심도 있는 후속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1454년에 간행된 원본 󰡔명심보감󰡕의 불교사상 중에서 우선 서문에 보이는 불교와 관련된 내용을 발췌하여 『명심보감』과 불교사상과의 관련을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영문 초록

이용기관관리 학지사3님 환영합니다. 로그아웃 스콜라 메인(대시보드) 상품관리 논문관리 논문관리 서비스 여부 및 발행정보 입력​ *개인저자여부​ YES NO *서비스여부​ YES NO *수동설정여부​ YES NO *무료여부​ YES NO *채널​ 학지사 *제공처​ 공인회계사협회 *발행기관​ 영남퇴계학연구원 *간행물​ .퇴계학논집 *권/호​ 제30호 논문 기본 정보​ 논문 ID​ 논문 카테고리(타입)​ *원논문명​ 한국불교 중흥을 위한 청주본 『명심보감』의 불교 이해 부논문명​ 논문명(영문)​ Buddhist ideas in the preface to the Cheongju version of Myongsimbogam of Mind. 논문명(기타)​ 논문DOI​ DOI URL​ 저자명​ 成海俊(Sung Hae-jun) 17/100자 논문 저자관리+ 추가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성 이름 소속1​ 소속2​ 주 저자설정​ 주저자 HomePage​ 초록 정보​ 국문 중국의 范立本이 1393년 이전에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명심보감』 서문(청주본)에 석가의 가르침 중에서 좋은 말을 모아서 한 권으로 엮어 ‘명심보감’이라고 하였다는 언급이 있다. 이 말처럼 원본 『명심보감』 서문을 비롯하여 본문에서 ‘方便과 선행, 인과응보, 知足安分’ 등 불교사상과 관련된 내용이 적지 않다. 그뿐만 아니라, 부처님의 慈悲와 功徳을 찬양하는 원색적인 불교 용어와 불교사상이 포함된 내용이 인용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한국에서 통용되고 있는 『명심보감』 판본에는 불교적 용어를 전혀 찾아볼 수 없다. 이는 조선시대 중기 이후 원본 ‘청주본’이 자취를 감추고 난 후 간행된 ‘초략본’에서 불교적인 내용을 의도적으로 삭제하여 󰡔명심보감󰡕의 유교화를 시도한 탓이다. 그 때문에 현재 학계에서도 『명심보감』의 유불도 3교 합일 사상을 언급하고는 있으나 불교사상과 관련한 심도 있는 후속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1454년에 간행된 원본 󰡔명심보감󰡕의 불교사상 중에서 우선 서문에 보이는 불교와 관련된 내용을 발췌하여 『명심보감』과 불교사상과의 관련을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565/4000자 영문 Some of the preface to the 'Cheongj version' which seems to have been written before 1393, by the author of the book 'Myeongsimbogam,' collected good words from Seokga's teachings and compiled them into a single book. As such, the introduction to the original Myeongsimbogam, as well as general matters related to Buddhist ideas such as 'Bangpyeon(方便), Good deed, Cause-and-Revenge, and Jijok Anbun(知足安分)' are cited in the text, and Buddhist ideas that exude the original Buddhist colors of Buddha's mercy and virtue. However, Buddhist terms are not found in the version of the 'Mind-in-Bogam,' which is currently widely used in Korea. This is because the original 'Cheongju copy' disappeared after the mid-Joseon Dynasty intentionally deleted the Buddhist content from the first edition of the book and attempted to Confucianize it. For this reason, the academic community now mentions the idea of unification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but in-depth follow-up research related to Buddhist ideas is rare.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ddhist ideas and the Buddhist ideas in the preface, based on excerpts from the original Buddhist ideas published in 1454.

목차

1. 들어가면서
2. 『명심보감』과 불교
3. 청주본『명심보감』 서문의 불교적 내용
4. 諸悪莫作, 衆善奉行 관련 중국의 일화
5. 諸悪莫作, 衆善奉行 관련 일본의 일화
6. 나오면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成海俊(Sung Hae-jun). (2022).한국불교 중흥을 위한 청주본 『명심보감』의 불교 이해. 퇴계학논집, (), 209-236

MLA

成海俊(Sung Hae-jun). "한국불교 중흥을 위한 청주본 『명심보감』의 불교 이해." 퇴계학논집, (2022): 209-2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