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교원의 학교민주주의 실천 유형 분류
이용수 167
- 영문명
- Classifying latent profiles of teacher’s practice in school democracy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교육사회학연구』제32권 제2호, 111~13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교원의 학교민주주의 실천 태도가 어떠한 양상으로 드러나는지를 확인하고, 이것이 교원의 개인 및 학교 특성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경기도교육연구원에서 2021년에 수집한 교원 1,180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민주주의 실천 양상에 따른 교원 집단은 ‘전반적 저실천 집단’, ‘전반적 고실천 집단’, ‘미시적 민주주의 실천 집단’ 등의 셋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리고 교원들은 교직경력이 길수록 ‘전반적 고실천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컸으며, 혁신학교에서는 저경력 교원들이 ‘미시적 민주주의 실천 집단’으로 분류되는 경향성이 두드러졌다. 한편, 학교의 의사결정 과정이 민주적이라고 인식하는 교원들은 ‘전반적 저실천 집단’과 ‘전반적 고실천 집단’으로 양극화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민주주의가 제도와 절차 수준을 넘어 관계와 실천의 수준으로 진전하는 데 필요한 조건들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latent profiles of teacher’s practice in school democracy and compare the differences in individual and school characteristics of teachers by latent profile. For this study, using the survey data (1,180 teachers) collected in 2021 by the Gyeonggi Institute of Education, latent profile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odels were run. The results of latent profile analysis showed that teacher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overall low-practice group’, ‘overall high-practice group’ and ‘micro democracy practice group’ which pursues democratic values in everyday life but is reluctant to participate in the public sphere. As a result of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eaching experience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level of school democracy practice. In Hyukshin schools, teachers who had a short career were more likely belong to the ‘micro democracy practice group’ than in general schools. Moreover, teachers who perceived that school’s decision-making process was democratic were polarized into overall low- and high-practice group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the conditions for school democracy to encompass the democracy of everyday life beyond the procedural democrac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