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독서활동을 이용한 구조화된 집단놀이치료 사례연구
이용수 18
- 영문명
- A case study through the structured group therapy with reading activities: Focused on the self-esteem of the children who experienced parent divorce
- 발행기관
-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놀이치료연구』놀이치료연구 제7권 제2호, 41~5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이혼 가정 아동들의 자아존중감을 독서활동을 이용한 구조화된 집단놀이치료를 통해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자존감이 낮다고 판단되어 사회복지사에 의해 의뢰된 6명의 아동을 치료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각각 2명씩 무선 배정하였다. 연구는 사전․사후 설계로 총 18회기로 구성하였으며 한 회기는 90분간 진행되었다. 각 회기는 이완활동(15분), 독서활동(30~40분), 토론활동(15분), 자유놀이활동(20~30분)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치료회기 내에서 아동들의 언어 및 행동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둘째, 자아존중감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self-esteem of children from the divorced families through the structured group therapy with reading activities. The children of divorce generally have poor self-esteem, and they can't efficiently cope with many negative emotional problems in their home, school, and social context. Thu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help the children be relaxed and express their feelings comfortably in the context of group situation through the structured group therapy because it could provide them acceptable and supportive surroundings. Especially,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emotional relaxation, self-awareness, problem solving and frustration overcoming using reading activities. 6 subjects were referr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by social worker, an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reatment group or control group of three. The experimental design of this study was pre-post design and the treatment program was consisted of 18 sessions (about 90 minutes per each session). Each session consisted of 4 parts of activities, that is, simple relaxation (15 minutes), reading (30~40 minutes), discussing (15 minutes), and free play (20~30 minutes). The significant results were as follows: (1) As predicted, the negative style of communication and/or behaviors were decreased gradually and appropriate communication and/or behaviors were increased as the sessions were going on. (2) They also showed improved self-esteem compared to pre-treatment phas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범죄인가 범죄화인가: 반(反)이민 프레임의 정치성과 한국의 과제
- 경찰공무원의 범죄피해 두려움 공감성이 폭력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 하이브리드 위협으로서 인지전 개념에 관한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