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놀이중심의 자기표현훈련이고립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1
- 영문명
- The effects of play-based self-expression training on isolated children’s social skills
- 발행기관
-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놀이치료연구』놀이치료연구 제9권 제2호, 63~7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놀이 중심의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이 고립아동의 사회적 기술 및 사회 정서적 고립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사회 정서적 고립 점수가 100.96점(M+1SD) 이상인 아동 8명이며, 총 10회로, 매회기 60~80분씩의 놀이 중심의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아동의 사회적 기술 및 사회 정서적 고립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고립아동의 사회적 기술은 아동 보고식 사회적 기술 검사, 교사 보고식 사회적 기술 검사를 사전․사후로 비교하고 훈련 내 이완활동과 훈련 실시 전과 후의 자유놀이 상황에서 아동의 행동 변화를 관찰자가 측정하였다. 그리고 사회 정서적 고립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회 정서적 고립 검사를 사전․사후로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놀이 중심의 자기표현훈련에 참여한 고립아동의 사회적 기술이 향상되었다. 둘째, 놀이 중심의 자기표현훈련을 통해 고립아동의 사회 정서적 고립이 감소되었다.
영문 초록
This is a pretest-posttest research that purposed to improve isolated children’s social skills and reduce their social and emotional isol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play-based self-expression training progra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 fifth-grade students that got a score of social and emotional isolation higher than 100.96 (M+1SD). The play-based self-expression training program was consisted of 10 sessions, twice in a sessions per week, and 60~80 minutes per session.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analyzed by measuring and comparing child-report social skills, teacher-report social skills and social and emotional isolation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and examining behavioral changes during the sessions and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First, the children’s social skills were improved after the training compared to them before the treatment.Second, the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isolation measured using a social and emotional isolation scale decreased after the treatment compared to that before the treat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발달장애 청년 자녀를 둔 부모가 지각하는 행복 : Q 방법론적 접근
- 산재 후 니트(NEET) 집단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재활서비스 욕구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 주의력 부족과 인터넷 게임 중독의 관계: 인터넷 게임 동기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