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동과 어머니의 기질 부조화에 따른어머니의 양육방식 및 아동의 문제행동

이용수  17

영문명
Poorness-of-fit temperament, mother's parenting practice & children's problem behavior
발행기관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놀이치료연구』놀이치료연구 제9권 제2호, 1~1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12.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세운 이론적 모델을 통하여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기질, 아동과 어머니의 기질 부조화와 양육방식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 아동의 내면화․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주는가에 대하여, 아동의 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청주시에 있는 6개의 유치원에 다니는 만 4세에서 6세의 아동과 그 어머니로부터 얻은 316부의 질문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이에서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남아는 정서성이 높을수록 내면화 문제행동을 더 많이 나타내고 외현화 문제행동은 나타나지 않는 반면 여아는 내면화․외현화 문제행동이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아는 사회성이 높을수록 내면화 문제행동이 낮은 반면 여아는 내면화뿐 아니라 외현화 문제행동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아는 활동성이 높을수록 내면화․외현화 문제행동이 낮게 나타나지만 여아는 내면화 문제행동만 낮게 나타나고 외현화 문제행동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아의 경우 어머니의 양육방식에 어머니의 정서성만이 영향을 미치는 반면, 여아는 사회성과 어머니의 정서성, 아동과 어머니의 정서성에 대한 기질부조화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방식이 온정적이지 않고 통제성이 높을수록 아동의 내면화 외현화 문제행동을 더 많이 일으킨다는 결과는 남아와 여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hild's temperament, mother' temperament, poorness-of- fit temperament between mother and child, mediated by mother's parenting practice on child's problem behavior. Subject of this study were consisted of 316 mothers having 4-6 years old children drawn from three preschools in Cheong-ju city.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WIN and LISREL(Linear Structural Relationship) Ⅷ program. The proposed theoretical model was supported by the data and fitted adequately.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First, emotionality and sociability of boy were significantly direct effects on children'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did not effect on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on the other hand, emotionality and sociability of girls were significantly direct effects on children's internalizing &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econd, mother's emotionality was only variable to have a direct effect on mother's parenting practice for girls. whereas child's sociability, mother's emotionality, and poorness-of-fit of emotionality have direct effects on mother's parenting practice for boy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
Ⅳ. 연구방법
Ⅴ. 연구결과
Ⅵ.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05).아동과 어머니의 기질 부조화에 따른어머니의 양육방식 및 아동의 문제행동. 놀이치료연구, 9 (2), 1-17

MLA

. "아동과 어머니의 기질 부조화에 따른어머니의 양육방식 및 아동의 문제행동." 놀이치료연구, 9.2(2005): 1-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