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음악줄넘기 활동이 학습부진아의 사회성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2

영문명
The effects on music rope-skipping activity for the slow learners' sociability and academic performance
발행기관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놀이치료연구』놀이치료연구 제12권 제2호, 137~150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8.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신체활동의 하나인 음악줄넘기 활동을 통하여 학습부진아의 학업성취도와 함께 공동체 생활에 필요한 사회성과 그 하위요소인 인내력, 집중력, 자기통제력, 건전한 태도, 협동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제주시에 위치한 D초등학교 3학년 10개 학급 452명, 같은 지역에 위치한 S초등학교 3학년 412명을 대상으로 기본, 기초학습부진아 판별도구에 의해 학습부진아로 판별된 학생 중 국어와 수학 점수 60점미만 아동 50명을 선정하여 총 18차시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음악줄넘기 활동은 학습부진아의 사회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사회성 하위요소인 인내력, 집중력, 자기 통제력, 건전한 태도, 협동심의 5가지 영역 중 인내력, 자기 통제력, 그리고 협동심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부진아의 학업성취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the effects on music rope-skipping activity for the slow learners' sociability and academic performance. Fifty slow learners, 25 experimental and 25 control group who are third graders attending two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in Jeju city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measurement tool used in this study was redesigned as a questionnaire based upon Personal Value Scales by Scott, Personal Value Scales by Jeong Bum mo and another questionnaire by Jeong sun woo. The questionnaire was including five sub-titles such as patience, concentration, self-control, good behavior, and cooperation in the field of sociability. To check out their academic performance, Standard Academic performance scales for all graders which were distributed by Jeju self-governing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both in November, 2006 and in March, 2007 and the checklist for slow learner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out that music rope-skipping activity had an effect on slow learners' sociability. More specifically, compared with control group, experimental group showed some improvement in 3 sub-titles out of five in terms of sociability after treatment and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statistics. In short, music rope-skipping activity turned out to be effective in slow learners' developing their patience, self-control and cooperation. But it proved to be hardly effective in sub-titles like concentration and good behavior. Second, music rope-skipping activity had an affirmative influence on slow learners' academic performance as well. Although in the subject of math, it made no difference in their academic performance, music rope-skipping activity turned out to improve their academic performance in the subject of Korean Languag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08).음악줄넘기 활동이 학습부진아의 사회성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놀이치료연구, 12 (2), 137-150

MLA

. "음악줄넘기 활동이 학습부진아의 사회성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놀이치료연구, 12.2(2008): 137-1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