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쉼터를 찾은 여중생의 모래놀이치료 사례 연구
이용수 11
- 영문명
- A case study of sand play therapy of a female student admitted to a shelter house
- 발행기관
-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놀이치료연구』놀이치료연구 제12권 제2호, 29~5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8.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사례는 신체적 학대와 성적 학대를 가한 부와 방임적인 모에 의해 쉼터로 오게 된 심약하고 자존감이 매우 낮은 여중생이 자기의 상황을 모래놀이치료를 통해 극복해 나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치료의 목표설정을 위해 다양한 심리검사가 선행되었으며 총 24회의 모래놀이치료가 실시되었다. 모래놀이치료 결과, 초기에 설정한 치료의 목표인 내면의 부정적인 부모상에 대한 변화와 성추행의 심리적 상처에 대한 회복, 자존감의 긍정적 발달로 인한 사회적 관계형성 등의 변화가 이루어졌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내담자의 전체적인 변화에 대해 논의하면서 우리나라 민담 <손 없는 색시>를 통하여 사례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hows a case of sand play therapy for a female student who has been abused by her father physically and sexually, neglected by her mother, and is eventually admitted to a shelter house. The client has weak mind and low self-esteem. To set up the objectives of the therapy, some psychological tests and 24 sand play therapy sessions have been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therapy, the client changed a negative image of parents, recovered physical trauma of sexual abuse, and improved her self-esteem. Finally, this study is discussed through Korean fork tale .
목차
Ⅰ. 서론
Ⅱ. 사례 개요
Ⅲ. 모래놀이치료 과정
Ⅳ.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