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모의 양육참여시간이 양육스트레스와 일과 규칙성을 통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34
- 영문명
- The Effects of Maternal and Paternal Parenting Time on Preschool Children’s Self-Regulation Through Parenting Stress and the Regularity of Daily Routines
- 발행기관
- 한국보육지원학회
- 저자명
- 김재희(Jaehee Kim) 김지연(Ji Yeon Kim) 김현경(Hyoun K.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보육지원학회지』제18권 제2호, 105~12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4.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ouble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and paternal parenting stress and the regularity of children’s daily routines in the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and paternal parenting time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Methods: A total of 235 preschool children aged 4-5 years and their mothers and fat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Parenting time,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were assessed using both mothers’ and fathers’ reports, but the regularity of daily routines was assessed using mothers’ reports only.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EM in Mplus 8.2.
Results: Mothers’ and fathers’ parenting stress appeared to have cross-spousal mediated effects of their parenting time on children’s self-regulation. Higher levels of mothers’ and fathers’ parenting time predicted higher levels of children’s self-regulation through only a lower level of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a higher level of the regularity of daily routines.
Conclusion/Implications: Findings indicated that parents’ parenting time played a significant protective factor in reducing parenting stress and increasing the regularity of daily routines among family members. This cross-spousal influence on parenting process can inform the development of prevention programs and parenting education to promote self-regulation skills among preschool childre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각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교사-유아 관계 효능감을 매개로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 참여의 의미 탐색
- 타인종에 대한 지각적 개별화 연습이 5-6세 유아의 혼합 인종 범주화에 미치는 영향
-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실행자료에 기초한 유아교사용 놀이지원 척도 개발
- 부·모의 양육참여시간이 양육스트레스와 일과 규칙성을 통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집 중간관리자 역할에 대한 원장, 중간관리자, 교사의 인식에 관한 혼합연구
- 신도시 신규위탁 국공립어린이집의개원과정 탐색: 세종시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심리상담전공 학부생 직무역량강화 방안: 외상인식기반 케어의 적용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자폐성 장애인의 음악창조 활동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의 사회적 지지가 돌봄 부담에 미치는 영향 : 장애수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장애인의 주거불안 유형과 대응에 관한 경험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