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동·청소년기 외상과 복합 PTSD 증상의 관계에서 외상신념과 자기체계 손상의 이중매개 효과
이용수 403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Complex PTSD: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Trauma and Attachment Belief & Traumatized Self-System
- 발행기관
- 한국교육치료학회
- 저자명
- 이정민(Lee, Jung-Min)
- 간행물 정보
- 『교육치료연구』제14권 제1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4.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기의 외상 경험이 성인의 복합 PTSD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또한, 아동·청소년기 외상 경험과 복합 PTSD의 관계에서 외상신념과 자기체계 손상이 병렬 이중매개 효과를 가지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청소년기 외상, 복합 PTSD, 외상신념, 자기체계 손상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척도를 사용하여 성인 376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와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아동·청소년기 외상 경험과 복합 PTSD 증상, 외상신념, 자기체계 손상 사이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복합 PTSD 증상과 외상신념, 자기체계 손상도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병렬 이중매개 효과를 확인한 결과 아동·청소년기 외상과 복합 PTSD의 관계에서 외상신념과 자기체계 손상이 부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외상 후유증에 대한 심리치료의 연구와 임상에 가지는 시사점 및 한계에 대해 논하였으며,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traumatic experienc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on the symptoms of complex PTSD in adults. In addition,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whether trauma and attachment belief and traumatized self-system have a doubl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complex PTSD. To this end, we analyzed data from 376 adults using a self-report scale measuring childhood trauma, complex PTSD, trauma and attachment belief and traumatized self-system.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raumatic experience and complex PTSD, and between traumatic experience and trauma and attachment belief/traumatized self-system. Complex PTSD symptoms and trauma and attachment belief/traumatized self-system were also found to correlate positively. Also, it was confirmed that trauma & attachment belief and traumatized self-system had a partially mediated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complex PTSD.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counseling and treatment on trauma and clinical studies were discussed.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