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레인 화합물을 이용한 불소 이온 검출에 관한 교육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Educational Study on Detection of Fluoride by Borane Compounds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 저자명
- 이강문(Kang Mu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육논총(구 교육연구논총)』제37권 제1호, 33~4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0.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양한 치환기를 포함하고 있는 3종의 보레인 화합물을 합성하고, UV/Vis 하에서 합성된 화합물이 내는 흡광을 이용하여 유기 용매 하에서 매우 적은 농도로 존재하는 불소 이온(F-)의 검출에 적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영문 초록
We propose a research for detection of the fluoride ion using borane compounds. Based on the Lewis acid-base reaction, we discussed the fundamental of sensing for fluoride ion. One of the important aspects in the chemistry of organoboranes is their behaviors as Lewis acids, which is a result of the vacant 2pπ orbital on the tricoordinate boron center. The electronic interaction between boron atoms and π-orbitals of donor molecules, constructed from the carbon 2p orbitals, is generally strong. Boron atoms can reach the desired octet configuration either through π-overlap with a suitable X or through formation of Lewis acid-Lewis base complexes.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연구 결과 및 고찰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영아반 교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인공지능교육 연구 동향분석
- 보육교사의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플립러닝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