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가족건강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진로성숙도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이용수 411
- 영문명
- The Exploration of mediating effect of Career Maturity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 Between Family Strength and Depression of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김현아(Hyuna Kim) 박재우(Jaewoo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심리치료학회지』제14권 제1호, 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4.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가족건강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성숙도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에 재학중인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AMO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건강성과 우울은 부적 상관을 보여 가족건강성이 높은 대학생은 우울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가족건강성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 대학생이 인지한 사회적 지지가 높은 경우 가족 건강성도 높은 모습을 보였고 우울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성숙도와 가족건강성은 정적 상관을 보였고, 진로성숙도와 우울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넷째, 가족건강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완전매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건강성에서 우울로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가족건강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역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족건강성이 낮고 우울의 수준이 높은 대학생을 상담할 때, 상담자가 사회적 지지체계로서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을 찾아내었다는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에 개입하여 가족 건강성이 낮은 내담자의 우울감을 회복하는데 도움이 되는지 효과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ing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maturity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 between Family strength and Depression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00 University students who attended school at that time. SPSS 22.0 and AMO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Family strength has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Second, Social support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Family strength, and Social support has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Third, Career Maturity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Family strength, and Career Maturity has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Fourth, Social support has complete mediated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Family strength and Depression. So, when a counselor meets a client who has low Family strength and High Depression, the counselor needs to be a Social support system for the client.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결론과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 대한 국내외 미술치료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 장기미술치료를 통한 강력범죄피해 외상경험자의 회복과정
- 지적장애 여성의 모성 위기와 모성 정체성 회복 과정에 대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