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교사의 멀티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국어-음악과 통합 수업안 개발 및 효과
이용수 268
- 영문명
-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Integrated Lesson Plan of Music and Korean for Raising Multi-literacy of Pre-service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최은아(Choi, Euna) 서현석(Seo, Hyunseok)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50호, 47~6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1.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멀티리터러시 함양을 위하여 국어-음악과 통합 수업안을 개발하고 효과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멀티리터러시의 핵심 내용과 구성 요소를 고찰하고, 국어과의 글쓰기 영역과 음악과의 감상 및 표현 영역에 초점을 맞추어 총 9차시의 국어-음악과 통합 수업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교육과정은 J 교육대학교 3학년 3개 심화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3주간에 걸쳐 적용하였으며, 사전 사후 설문지, 수업 성찰일지, 모둠별로 제작한 동영상, 온라인 게시판에 작성한 상호 의견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어-음악과 통합 수업안이 음악 매체 효과 인식, 비평적 글쓰기 능력, 협력적·비평적 의사소통 능력의 측면에서 예비교사의 멀티리터러시 향상과 멀티리터러시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어과의 음악과의 통합 수업이 예비교사의 멀티리터러시 함양을 위해 유용한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integrated lesson plan of Korean and music for the raising multi-literacy of pre-service teachers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integrated lesson plan. To this end, after examining the core contents and components of multi-literacy, exploring the connected points between the Korean and music, and focusing on the writing, music appreciation, and creating, a total of 9 sessions of integrated lesson plan of Koran and music were developed. The integrated lesson plans were applied for 3 weeks to the 3rd grade students of J University of Education. Qualitative data such as pre-post questionnaires, reflection journals on class, music videos produced by groups, and mutual opinions written on online bulletin board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tegrated lesson plan of Korean and music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multi-literacy of pre-service teachers - in terms of perception of music media effect, critical writing competency, and cooperative/ critical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the change of perception of multi-literacy.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ntegrated lesson plan of Korean and music can be a useful way to raise multi-literacy of pre-service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국어-음악과 통합 수업안 개발
Ⅳ. 국어-음악과 통합 수업안의 적용 및 효과 분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교사의 멀티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국어-음악과 통합 수업안 개발 및 효과
- 중등학교 가창 교육의 실태 분석
-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을 위한 근거 기반 국악치료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음악적 전이 능력 함양을 위한 감상영역 온라인 이러닝 콘텐츠 설계 양식 개발
- 2015 개정 음악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 창의·융합 교육을 위한 음악 작품속의 창의·융합 사례 고찰
- 국악 VR 콘텐츠와 초등학교 국악감상 교육 연구
- 애니메이션에서 사운드에 의한 캐릭터화(Characterization)에 관한 연구
- 퇴임 직전 노년교사의 교직경험을 통해 본 음악수업의 의미
- 문화예술교육사를 위한 학교 교육과정 기반 음악 프로그램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