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등학교 가창 교육의 실태 분석

이용수  433

영문명
Analysis on Status of Singing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발행기관
한국음악교육공학회
저자명
양인준(Injoon Yang) 조성기(Sunggi Cho)
간행물 정보
『음악교육공학』제50호, 91~11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1.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등학교 현장에서 가창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내용과 실태를 파악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가창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다양한 문헌을 고찰하였고, 이를 토대로 가창 교육의 실태와 요구를 위한 조사 도구를 개발하여 전국의 중․고등학교 음악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를 시행하였고 응답자 105명의 응답 내용에 대한 통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등학교 음악 교사들은 여전히 가창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 음악 수업에서는 큰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데, 가창 수업이 감상이나 기악 수업에 비해 적게 이루어지고 있음으로써 가창 교육에 할애하는 시간이 줄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창 교육의 내용에서는 대중가요나 대중음악이 가창 제재곡으로서 그 비중이 높게 선호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호흡법이나 발성법, 그리고 음악 요소에 대한 학습은 비교적 잘 이루어지고 있으나 시창 교육이나 창의적인 표현을 위한 교육은 다소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창 교육의 방법에서는 교사의 시범창과 듣고 따라부르기를 통한 교육이 중심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계명창에 의한 교육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contents and actual conditions of how singing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in the secondary school field. To this end, various literature on the contents and methods of singing education was reviewed, and based on this, a survey tool was developed for the actual situation and needs of singing education, and statistics on 105 respondent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still recognized the necessity of singing education as important. However, there is a big change in actual music classes,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time devoted to singing education is decreasing as singing classes are being conducted less than listening or instrumental classes. In the content of singing education, popular songs and popular music are highly preferred as songs for singing classes, and learning about breathing, vocalization, and musical elements is relatively well done, but education for sight-singing and creative expression is somewhat insufficient. In the method of singing and singing education, it was found that education through the teacher s demonstration window and listening and singing was centered, and education by solmization was not well conduc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가창 교육의 실태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인준(Injoon Yang),조성기(Sunggi Cho). (2022).중등학교 가창 교육의 실태 분석. 음악교육공학, 50 (), 91-111

MLA

양인준(Injoon Yang),조성기(Sunggi Cho). "중등학교 가창 교육의 실태 분석." 음악교육공학, (2022): 91-1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