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19 시대 지역사회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20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 활용
이용수 1,387
- 영문명
- Factors Contributing to Depression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 during COVID-19: Using Data from the 2020 Community Health Survey
- 발행기관
- 한국노인간호학회
- 저자명
- 전혜정(Jun, Hye Jung) 정연진(Jeong, Yeon Jin)
- 간행물 정보
- 『노인간호학회지』제24권 제1호, 55~6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s among perceived health status, stress, daily life changes, physical distancing, depression, and to determine associated fctors of depression fo older adults in COVID-19.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42,448 persons aged 65 years and above who participated in the 2020 Community Health Survey Data analysis was done with SAS 9.4. Results: The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of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were gender(β=.04, p<001), age(β=.07, p<001), education(β=-.04, p<001), monthly household income(β=-.02, p<001), depressive symptoms(β=.27, p<001), unmet healthcare needs(β=-.08, p<001), households(β=.02, p<001), perceived health status(β=.21, p<001), stress(β=-.26, p<001), daily life changes(β=-.03, p<001), and physical distancing(β=-.02, p<001). The descriptive power of this regression model was 31%. Conclusion: Treatment and education for diseases and depression should be provided to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to prevent and manage their depression. In particular, nursing interventions are needed to improve depression in the older adults. Health care programs such as reducing stress and maintaining daily activities while maintaining good health should also be provided.
목차
서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족상담지원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가족부양자의 긍정적인 돌봄 경험
- 코로나19 시대 지역사회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20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 활용
-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on Relationships between Nutritional Status and Quality of Life among Older Adults: A Cross-Sectional Study
- 자녀동거노인가구, 노인부부가구와 독거노인가구의 우울 영향요인 조사: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 이용
- 노인요양시설 실무종사자의 인간중심간호 경험: 질적 메타합성 연구
- 요양병원 간호사의 소진과 직무열의에 대한 구조모형: 확장된 직무요구-직무자원 모델의 적용
-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당뇨병성 만성합병증 발생과 동반 합병증 개수 관련 요인: 2002~2015년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자료 활용
- 국내 노인의 낙상예방 중재의 특성과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 방문요양서비스 이용 노인의 발가락력 영향요인
- 장기요양시설 입소 노인의 등급별 자원이용량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들의 안전교육 필요성에 관한 조사
- 성인의 비자살적 자해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노인의 디지털 접근성과 사회적 고립 간의 관계: 2023 노인 실태조사 기반 분석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간호대학생의 사회적지지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1, 2학년을 중심으로
- 간호대학생의 가부장적 사고, 아동 권리 인식이 아동학대에 대한 전문가적인 책임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종합병원 간호사의 잡 크래프팅, 자기효능감 및 간호근무환경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