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 의도적 통제 및 부모-자녀관계가 유아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33
- 영문명
- The influences of negative emotionality, effortful control,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on emotion regulation of preschoolers
- 발행기관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은(Jeung Eun Kim) 신유림(Yoolim Shin)
- 간행물 정보
- 『생태유아교육연구』제14권 제1호, 219~23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 의도적 통제 및 부모-자녀관계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만 3세에서 만 5세 유아 262명이었고, 어머니 보고법으로 유아의 기질, 정서조절능력 및 부모-자녀관계가 측정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의 성별에 따라 정서조절능력은 차이가 있었으나, 연령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기질 및 부모-자녀 관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부정적 정서성, 의도적 통제의 영향력을 통제한 후에도 부모-자녀관계 중 관계적 좌절감, 훈육 및 양육 효능감의 추가 설명력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기 정서조절이 기질과 같은 선천적 요인뿐만 아니라 부모-자녀관계의 경험을 통하여 발달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negative emotionality, effortful control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on emotion regulation of preschoolers. The participants were 3-5 old 262 children who were recruited from preschools and day care centers. Emotion Regulation Checklist was used to measure emotion regulation. To measure negative emotionality, scale of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 s negative emotions was used. To measure effortful control, Children s Behavior Questionnaire-Short Form was used. In addition, PRQ was used to measure parent-child relationship. The results showed that girls revealed higher level of emotion regulation than boys.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emotion regulation, negative emotionality, effortful control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Moreover, relational frustration, discipline, and parenting efficac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after controlling the influences of negative emotionality and effortful control.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문학작품에 나타난 유아와 나무의 관계맺음의 의미
-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어머니의 공감능력과 양육태도가 유아기 자녀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및 자기평가
-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 의도적 통제 및 부모-자녀관계가 유아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완벽주의와 정서경험이 교사소진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개인 심리적 특성과 가정환경자극 수준이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
- 생태적 교육배경을 지닌 부모의 부모 되기 경험의 의미
- 예비유아교사들이 보육실습에서 경험하는 딜레마에 관한 연구
- 전국 유아교육기관 숲유치원 운영현황과 실태분석을 통한 한국형 숲유치원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 만 3세 유아들의 그림책 반복적 읽기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수학 예비교사의 AIDT에 대한 기대와 활용
- 예비교사의 ‘설계-실행-재설계’ 과정에 기반한 교사 설계 역량 프레임워크의 정교화
- 대규모 수학 평가 문항에서의 인지·행동 영역 분류와 교사의 이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