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정상담에서의 기독교상담적 접근의 의미와 사례
이용수 110
- 영문명
- An Approach to Christion Counseling on the Correction Counseling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저자명
- 류혜옥(Rhew, Hea Ok)
- 간행물 정보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제26권 제3호, 51~6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8.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기존의 교정현장은 범죄인에 대해 억제와 통제 중심의 형벌 위주의 교정 교화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는 주로 사회와의 격리와 교정교육에 중점을 둔 응보적 정의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나 최근 들어 새로운 모델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는 교정에 대한 새로은 관점을 제시하게 되었고 지역사회의 관계도 중요하게 되었다.)990년 이후 교정 분야에서도 회복적 사법이 대두되며 형벌 중심의 사법에서 그 개념이 확장되고 있으며. 사후약방문인 교정 프로그램이나 훈련에 집중하기보다 회복적 정의와 실천 방안들로 제시되고 있는 교정상담영역에서 기독교상담이 얼마나 적합하며 중요한지를 강조하고 특징에 부합한 사례와 실천을 소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plore the adjustment of correction field by Christion counseling. The correction field existed retribution principle and justice of suppression and control. It is reformation of punishment centered and the isolation from society. Since)990, New model presented Restorative community justice model. This conception extended broke away from penalty centerded correction program or traning program. This suggests new points of view for correction and needs the relationship with the whole community. It reached paradigm shift. Christion counseling play a key role in this regard. This study introduce meaning and practice of christion counseling about the correction counseling.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기독교상담의 핵심
Ⅲ. 교정 분야에서의 기독교상담 실천 사례: 청소년회복센터(청소년 사법형 그룹홈)
Ⅳ.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월상담과 자기심리학의 주요 구념의 관계에 대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 미술매체를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애착안정성·자아존중감·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연구
- 부부갈등 및 부모 양육행동과 유아기 자녀 문제행동의 종단적 관계
- 발달 트라우마 회복을 위한 상담연구
- 복합성의 포용
- 재가 만성조현병 내담자의 심리상담 경험 연구
- 현실요법을 적용한 청각장애인의 대인관계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자폐성 장애를 가진 자녀 양육경험 연구
- 교정상담에서의 기독교상담적 접근의 의미와 사례
- 자기부인(Self-Denial)과 자기수용(Self-Acceptance)에 대한 기독교상담학적 조명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내재화 문제 행동을 보이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PCIT-ED 사례 연구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권두언
- WYD Seoul 2027을 향한 ‘청년 사목’의 성찰적 제도화에 관한 연구: 시노달리타스의 적용을 중심으로
- 한국 사회에서 청년 신앙인으로 살아가기: 가톨릭 청년 사목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