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발달 트라우마 회복을 위한 상담연구
이용수 478
- 영문명
- The Study on Counseling Model for Recovering from Developmental Trauma: Focused on the Case of Counseling the Middle Aged Woman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저자명
- 박경은(Kyungeun Park) 김선영(Seonyoung Kim) 손재구(SOHN, Jaegu)
- 간행물 정보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제26권 제3호, 99~131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8.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 트라우마 회복을 위한 상담 과정의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제까지의 트라우마에 관한 연구는 쇼크 및 삶의 위기 트라우마에 집중되어 있어 발달 트라우마에 관한 상담적 접근은 제시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트라우마적 관점에서 결핍된 애착과 손상된 발달의 회복을 도울 수 있는 상담의 과정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발달 트라우마를 다룰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내담자의 애착유형과 방어기제를 선별해 안정감을 형성하고, 감각느낌과 정서적 접촉을 통하여 숨겨진 자원을 발견해 나가는 과정이다. 이 자원은 이후의 발달 트라우마의 핵심에서의 작업을 훨씬 더 수월하게 만들어 줄 수 있다. 전반부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소매틱 익스피어리언싱(SE), 속성경험역동심리치료(AEDP), 내면가족치료체계(IFS)의 최신 상담 기술들을 접목해 발달 트라우마 회복을 위한 상담의 과정을 제시하였다. 후반부에서는 이 과정이 중점적으로 드러내고자 하는 방어기제의 해체, 자원을 찾아 공고히 다지기, 트라우마 핵심에서의 작업 과정이 실제 발달 트라우마를 가진 중년 여성과의 상담 사례에서 어떻게 드러날 수 있는지를 보이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 counseling model for recovering from developmental trauma. Previous studies for trauma have so focused on shock or crisis in the life trauma that there have not been discussed about counseling approach for developmental trauma. For this reason, this study is to propose counseling model for recovery from the lack of attachment and development in terms of trauma. The most important part to dealing with developmental trauma is to sort out client’s attachment style and defense mechanism, and to make safety and to find resources through felt sense and emotional contact. This resources make the work easier for an core of developmental trauma. The first half of this study describes counseling model for that integrated latest counseling technologies such as SE, AEDP, IFS. The second half of this study describes the case of counseling the middle aged woman who had developmental trauma.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과 의의
Ⅱ. 이론적 배경
Ⅲ. 사례 연구
Ⅳ. 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월상담과 자기심리학의 주요 구념의 관계에 대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 미술매체를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애착안정성·자아존중감·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연구
- 부부갈등 및 부모 양육행동과 유아기 자녀 문제행동의 종단적 관계
- 발달 트라우마 회복을 위한 상담연구
- 복합성의 포용
- 재가 만성조현병 내담자의 심리상담 경험 연구
- 현실요법을 적용한 청각장애인의 대인관계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자폐성 장애를 가진 자녀 양육경험 연구
- 교정상담에서의 기독교상담적 접근의 의미와 사례
- 자기부인(Self-Denial)과 자기수용(Self-Acceptance)에 대한 기독교상담학적 조명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내재화 문제 행동을 보이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PCIT-ED 사례 연구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권두언
- WYD Seoul 2027을 향한 ‘청년 사목’의 성찰적 제도화에 관한 연구: 시노달리타스의 적용을 중심으로
- 한국 사회에서 청년 신앙인으로 살아가기: 가톨릭 청년 사목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