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독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 및 완벽주의가 대인관계문제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82
- 영문명
- The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and Perfectionism to Interpersonal Problem Tendency among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저자명
- 이지은(Lee, Ji Eun) 박승민(Seung-Mi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제28권 제3호, 113~14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인관계 문제 경향성이 높은 기독 대학생들에게 내면화된 수치심 및 완벽주의가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기독 대학생 48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대인관계문제 경향성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분류하여 t–검증,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완벽주의에서 대인관계문제 경향성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완벽주의 각 변수 별로 대인관계문제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대인관계문제 경향성이 낮은 집단의 경우 내면화된 수치심의 하위요인 중 ‘실수불안’이, 문제 경향성이 높은 집단의 경우 완벽주의의 하위요인 중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대인관계 문제 경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인관계 문제경향성에 대한 내면화된 수치심과 완벽주의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인관계문제 경향성이 높은 집단만이 내면화된 수치심과 완벽주의의 영향을 모두 받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독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 해결을 위한 교육 및 상담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internalized shame and perfectionism acts as an influencing factor in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a high tendency of interpersonal problem. 485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were surveyed, and were classified into groups having a high and low tendency of interpersonal problem.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igh and low interpersonal problem tendency groups. Second, in case of a low interpersonal problem tendency group, ‘anxiety of making a mistake’ in internalized sham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personal problem, and in case of a high interpersonal problem tendency group, ‘socially imposed perfectionism’ in perfectionism do. Thir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an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and perfectionism to interpersonal problem tendency, only high interpersonal problem tendency group was affected by both internalized shame and perfectionism.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set an education and counseling strategy for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