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애착 문제로 갈등을 경험하는 중년 부부의 통합적 부부치료 사례 연구

이용수  305

영문명
Integrated Couple Therapy for the Middle–Age Couple’s Conflict with Attachment Problem: The Qualitative Case Study
발행기관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저자명
최지원(Choi, Ji Won)
간행물 정보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제28권 제3호, 207~240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8.3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애착의 문제로 갈등을 경험하는 중년 부부를 치료하기 위하여 EFT(정서중심적부부치료)의 개입 단계와 애착 이론, 내러티브 접근을 통합적으로 적용한 부부치료 사례 연구이다. 이 사례의 총 회기는 20회로 진행하였다. EFT의 단계와 애착이론, 내러티브로 통합한 치료 개입이 부부의 관계에 어떤 변화를 초래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현재 부부관계에서 나타나는 애착 행동, 정서 패턴과 의사소통 양식을 분석한 후 그에 따라 내러티브 방식으로 개입하였다. 연구에 참여한부부는 서울 근교에 거주하며 40대 중반으로 자녀들은 청소년기에 속한다. 연구 결과, 부부관계의 변화를 위해서 부부의 현재 문제나 갈등에 집중하되 중기 이후, 상호작용 및 태도의 변화 단계에서 어린 시절의 애착 경험을 다루면 부부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서로에 대한 욕구와 바람을 표현하고 수용되는 경험을 할 때 부부관계의 관계 개선이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특히, 관계 개선에 대한 남편의 변화와 노력, 의지 정도에 따라 부인의 반응의 변화와 기능적인 순환 체계가 빠르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에 부부 각자에게 실시한 설문지 반응을 분석한 결과, 배우자에게 말하지 않아도 알아주기를 바라던 행동이 배우자에게자신의 정서를 표현하는 것으로 바뀌었고, 배우자를 비난하고 평가하는 자기중심적인 의사소통 방법에서 상대방을 공감하고 이해하려는 방식으로 변화하였다.

영문 초록

This qualitative study is based on integration of the stage of EFT, attachment theory, narrative approach for a middle–age couple with conflict of attachment problem. Total 20 session was taken. This research is focused on how to make a change on couple’s relationship and attachment with integration approach. The couple’s relationship pattern and needs for each other were observed through the perspective of attachment behavior, pattern of emotion and communication, which are treated via narrative practices. This couple’s residence os nearby Seoul, who are in their late–40’s with children in their teenage. As a results, the counseling initially focused on the participants’ conflicts, later on the focus shifted to the participants’ childhood issues on attachment experiences, the change of interactional patterns which could make effective improvement on couple’s relationship. When the couple express their needs, wishes and accepted their feelings, couple’s relationship would be improved. Especially, as the husbands’ eagerness and effort to follow the intervention led to significant stability of functional system and the process of counseling. After that, analysis of couple’s report on the counseling progress on ‘attachment’, couple started to tell their feeling and needs, express empathy and understanding to each other. The way of communication is changed from blaming the spouse to understanding and giving empathy each othe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지원(Choi, Ji Won). (2017).애착 문제로 갈등을 경험하는 중년 부부의 통합적 부부치료 사례 연구.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8 (3), 207-240

MLA

최지원(Choi, Ji Won). "애착 문제로 갈등을 경험하는 중년 부부의 통합적 부부치료 사례 연구."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8.3(2017): 207-2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