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회복탄력성에 대한 기독상담적 고찰
이용수 184
- 영문명
- Reflection on Resilience for Christian Counseling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저자명
- 유상희(Yoo, Sang Hi)
- 간행물 정보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제30권 제2호, 155~18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5.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회복탄력성(resilience)에 대한 연구가 심리·상담분야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반면, 기독상담 분야에서 회복탄력성이라는 용어나 척도를 사용한 연구는 시작 단계이며 심리·상담분야의 개념이나 척도를 그대로 적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기독상담 분야에서 회복탄력성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지만 인간이 위기나 어려움에 처했을 때 어떻게 견디고, 회복하고, 성장하는지에 대한 연구들은 지속적으로 있어 왔으며, 따라서 본 연구는 회복탄력성이라는 개념을 기독상담적 관점에서 조명하고자 한다. 이는 회복탄력성에 대한 해석학적 시도이자 신학적 고찰로서, 심리학적 관점과 기독상담적 관점을 상호비평적 상관관계(mutually critical correlation)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회복탄력성이라는 개념을 중요시하는 긍정심리학과 관계문화이론을 소개하고, 이들의 공통점을 제시하며, 회복탄력성의 주요 요소들을 개관한다. 둘째, 회복탄력성의 개념과 주요 요소들을 기독상담 관점의 인간이해와 평가방법을 제안하는 Clinebell과 Fitchett의 관점에서 재조명한다. 마지막으로 기독상담 분야에서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한다.
영문 초록
The studies on resilience in the field of christian counseling are considered in the beginning stage by simply applying the term and scale used in the psychological area which these have been actively researched. However, without the term or its quotient, the studies on how people have endured, recovered, or grown in dealing with crisis or adversities have continuously existed in the area of christian counseling, and for this reason, this study reflects on the concept of resil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counseling. As an attempt of hermeneutical and theological reflection, this study tries to present a mutually critical correlation which brings into conversation or integration of psychological perspectives and christian counseling perspectiv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 discusses positive psychology and relational–cultural theory which are the theories emphasizing resilience, presents their similar features, and lists the major factors of resilience. Second, the concepts and major factors of resilience are reflected and integrated, especially with the perspectives of Clinebell and Fitchett, who suggest to understand, assess, or diagnose human beings from the perspectives of christian counseling. Third, this study presents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of christian counseling on resilience.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회복탄력성
Ⅲ. 회복탄력성에 대한 기독상담적 고찰
Ⅳ. 회복탄력성에 대한 기독상담적 제언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율법과 복음의 관계 - 루터와 칼빈과 ‘바울에 관한 새 관점’의 입장 비교를 통한 연구
- 개인구원을 넘어 사회적 칭의론을 향하여 - 구원론의 지평 확대
- 코메니우스의 구원론 - 믿음, 소망, 사랑과 이신칭의와의 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