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독교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대인관계 문제에서 전위 공격성의 매개효과
이용수 217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interpersonal problems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displaced aggression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저자명
- 조성휘(Cho, Seong Hwi) 가요한(Ka, Yo Han)
- 간행물 정보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제31권 제4호, 261~28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1.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독교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전위공격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자료 수집은 경북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만 19세 이상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 296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내현적 자기애, 대인관계 문제(KIIP-SC), 한국판 전위공격성(DAQ-K) 척도가 사용되었다. SPSS 22.0와 SPSS Macro를 사용하여 회귀분석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및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대인관계 문제, 그리고 전위 공격성 간의 정적인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전위 공격성의 부분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으로 인해 촉발된 대인관계 문제를 본 성향에 기인한 전위 공격성으로 부분적 설명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담에서 성인 초기의 기독교인의 내현적 자기애와 이 기질에 근거한 전위 공격성 양상을 파악함으로써, 이들이 속한 교회 공동체를 위시한 전반적인 대인관계 문제의 이해를 증진할 수 있는 점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기독교 상담의 함의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s about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displaced aggress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and their interpersonal problems. Based on Gyeong-buk province, 296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provided to undergraduates and graduate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tatistical tool of SPSS 22.0 and Macro for identifying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related variables were identified. Second, displaced aggression has its partial mediating effect.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how that covert narcissism has an effect on interpersonal problems. It also suggests that displaced aggression has an ability to explain the interpersonal problems arisen from the covert narcissism. The results elucidate the aspects of displaced aggression from covert narcissism and help guide specific counselling intervention strategies for understanding its interpersonal problems.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implications of Christian counselling, and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dealt wit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율법과 복음의 관계 - 루터와 칼빈과 ‘바울에 관한 새 관점’의 입장 비교를 통한 연구
- 개인구원을 넘어 사회적 칭의론을 향하여 - 구원론의 지평 확대
- 코메니우스의 구원론 - 믿음, 소망, 사랑과 이신칭의와의 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