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평가방안
이용수 119
- 영문명
- After-school Program Evaluation Plan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방과후학교학회
- 저자명
- 김경성(Kim, Kyeong Sung) 정선영(Jeong, Seon Yeong)
- 간행물 정보
- 『방과후학교연구』제3권 제2호, 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8.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06년부터 전면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방과후학교는 양적인 확대에도 불구하고 지도강사 및 인적자원 확보, 적절한 공간과 시설 및 기자재 확충, 안전사고 대책, 학교급별에 따른 수요자 중심의 프로그램 운영, 담당 교사의 업무 과다 등의 장애요소가 방과후학교의 활성화를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강한 책무성을 바탕으로 하는 평가가 필요하다. 국내 방과후학교의 평가에 대한 연구를 살펴본 결과 학부모 및 학생의 만족도 평가, 운영 조직의 평가, 강사(전담교상)의 평가, 프로그램 운영의 평가, 예산 운영의 평가, 시설(공간) 및 환경과 교구의 평가, 기타 내용의 평가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미국, 영국, 일본, 프랑스의 방과후학교 운영 사례를 통하여 본 결과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한 프로그램,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프로그램, 다양한 기관에 의해 개발하는 프로그램, 다양한 재정 마련 방법, 정규 수업과 긴밀한 관계, 탄력적인 시간운용, 진로 및 적성 지도의 기초자료로 활용 등이 방과후학교 운영에 고려되고 평가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 나라 방과후학교 평가를 위하여 첫째, 우리나라 상황에 맞는 평가모형 확립, 둘째, 평가의 준거 절정, 셋째, 질적인 방법과 양적인 방법이 동시에 고려된 프로그램 평가, 넷째, 책무성(accountability)을 바탕으로 한 프로그램평가, 다섯째, 종단적 평가, 여섯째, 학교급 또는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Since 2016 full scale implement of after-school programs , there are many barriers to providing a quality After-school programs, i.e. difficulty in recruiting qualified instructors, shortage of proper space for the programs, ample and appropriate materials, lack of customer-centered programs and excessive duties for teachers in charge. According to Hong et al (2005) the following domains have to be considered when assessing an After-school program, i.e. program satisfaction, management organization, instructor, programs’ administration, budget, facilities, environment and learning materials. The way to overcome these problems requires evaluation on the basis of strong educational accountability. In 2005 Kim et al and in 2007 Lim developed an administration evaluation for After-school programs based on the CIPP evaluation model. However, we still do not have a sufficient amount of research related to the assessment of After-school programs or its effectiveness. After-school program research in America, England, Japan, and France have shown that there are many impeding factors and program design such as: programs on the basis of students’ academic levels, community programs developed by various institutes, public and private financial support, connected with formal class instruction, flexible time and operation, and the use of various educational personnel.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his study recommends the following for After-school evaluation:
· First, create a proper evaluation model for Korean After-school programs,
· Second, establish an evaluation criteria which should keep pace with the building evaluation model,
· Third, utilize a research design model that include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 Fourth, program evaluation should be performed under the proposition of accountability,
· Fifth, the evaluation of After-school programs should not be done one time but longitudinal.
목차
Ⅰ. 서론
Ⅱ.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평가
Ⅲ.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Enhancing Learners’ Convergence Competency through VR Design-Based STEAM Education
- In-Context Learning을 통한 서·논술형 평가에서의 대형 언어 모델과 교사 간 채점 및 피드백 정합성 향상 방안
-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Beliefs about Intelligence, Goal Orientation, and Cognitive Task Engagemen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