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돌봄 서비스 질 측정방법 탐색

이용수  160

영문명
Searching Measurement Method For Quality Of Care Service For Elementary Schoolchildren : Based On SERVQUAL Model
발행기관
한국방과후학교학회
저자명
정영모(Jeong, Yeong Mo)
간행물 정보
『방과후학교연구』제3권 제2호, 41~5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8.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 돌봄 서비스 질을 측정하는 방법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을 실시하고 SERVQUAL 모형을 중심으로 서비스 질 측정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2004년 초등 돌봄 서비스가 초등학교 내에서 실시된 이후 초등돌봄교실은 폭발적인 양적 성장을 거듭해 왔다. 반면에 서비스 질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측정하는 노력은 부족했다. 그동안 초등돌봄교실 정책 효과는 학부모의 전반적인 만족도 수준과, 여성 경제활동인구 비율 등 결과적인 변수를 통해 평가되는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초등돌봄교실에 대한 학부모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나 아이 돌봄 문제로 직장을 그만두는 여성의 비율은 오히려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등 기존의 정책효과 분석의 한계점이 드러나고 있다. SERVQUAL모형에 의한 서비스 질 측정은 서비스 질을 보다 체계적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정기적인 조사를 통해 서비스 질의 추이를 분석할 수 있고, 타 기관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서비스 질 개선을 위해 어떤 영역을 보완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실증적 연구를 통해 SERVQUAL모형 적용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보완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at searching measuring method for quality of care service for elementary schoolchildren. For this, we conducted literature analysis and suggested a concrete measures for measuring quality of service based on SERVQUAL model. Since care service for elementary schoolchildren started in 2004, it has been experienced explosive quantitative growth. However, the efforts to measure the quality of service syst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were insufficient. So far, policy effect of care service for elementary schoolchildren tended to be evaluated by overall satisfaction levels of parents and resultant variables such as femal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ratio. But recently, the uppermost limit of analysis on existing policy effect has revealed that overall satisfaction of parents about care service for elementary schoolchildren has steadily increased while the proportion of women quit their job as a child care issue has rather increased. Measuring quality of service according to SERVQUAL model is able to access to service quality more systematically, to analyze the progress of service quality through periodic inquiry, and to grasp the information that which part should be complemented for improving service quality through comparison analysis with other agencies. So it is expected that this method can complement such issues more effectively. However this study is exploratory research, so review for feasibility of SERVQUAL model and its complement through further objective research are required.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SERVQUAL을 활용한 초등 돌봄 서비스 질 측정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영모(Jeong, Yeong Mo). (2016).초등 돌봄 서비스 질 측정방법 탐색. 방과후학교연구, 3 (2), 41-56

MLA

정영모(Jeong, Yeong Mo). "초등 돌봄 서비스 질 측정방법 탐색." 방과후학교연구, 3.2(2016): 41-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