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방과후학교 효과성 평가를 위한 모형 탐색
이용수 97
- 영문명
- A Study on an Evaluation Model of Effectiveness of After-School Program
- 발행기관
- 한국방과후학교학회
- 저자명
- 김성식(Kim, Sung Sik)
- 간행물 정보
- 『방과후학교연구』제3권 제2호, 21~4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8.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학교 효과 연구를 통하여 발전되어온 학교 효과의 의미를 검토하고 방과후학교의 효과성을 측정・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논의하였다. 먼저, 학교 효과의 개념을 가산적 효과, 상대적 효과, 차별적 효과 등 세 가지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방과후학교 운영 목표를 고려하여 창의 인재로의 성장, 사교육 참여 여부(정도), 보호 및 돌봄 정도, 교육격차 해소 등을 산출(결과) 지표로 제시하고, 이와 관련된 가정 배경, 학교교육(정규 교육과정), 방과후학교의 구조적 관계를 모형화하여 방과후학교 효과성 측정‧평가모형으로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보면, 방과후학교의 효과성을 파악할 수 있는 요소로서 산출지표에 대한 직접적 효과, 가정 배경 영향력의 완화 효과, 학교 기능의 확대 및 강화 효과 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방과후학교 성과 평가모형을 적용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대표성 있는 데이터 수집, 단위 학교에서의 활용 가능성, 관리‧지원 체제 구축 등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discussed the method to measure and evaluate effectiveness of after school programs, referring to the concept of school effect. The meaning of school effect has been reviewed from three aspects: additive effect, relative/individual effect, and differential effect. Based on the concept of school effect, the evaluation model of after school program was proposed. In the model, development of students’ creativeness, decrease of demand for private education out of school, providing care and protection, and supplement of educational gap were suggested as a goal and outcome of after school. And then, it is proposed that the effects of after school program should be analysed on three elements: direct effect on outputs, compensatory effect on socioeconomic background influences, and expanding effect of school function. Finally, conditions to apply the evaluation model was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학교 효과의 세 측면
Ⅲ. 방과후학교 효과성 평가 모형
Ⅳ. 요약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Enhancing Learners’ Convergence Competency through VR Design-Based STEAM Education
- In-Context Learning을 통한 서·논술형 평가에서의 대형 언어 모델과 교사 간 채점 및 피드백 정합성 향상 방안
-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Beliefs about Intelligence, Goal Orientation, and Cognitive Task Engagemen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