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핀란드 2014 개정 시각 예술(Visual Arts)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차기 미술과 교육과정의 시사점 탐색
이용수 89
- 영문명
- A Study on Exploring the implications for the next national art curriculu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2014 revised visual arts curriculum in Finland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강주희(Kang, Joo-Hee) 김정효(Kim, Jeong-Hyo)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67권, 1~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1.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핀란드의 국가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역량교육을 어떠한 방식으로 구현하고 있는가를 탐색하여 향후 우리나라의 미술과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핀란드 교육문화부(Ministry of Education and Culture, 이하 MoEC)와 교육위원회(Finnish National Board of Education, 이하 FNBE)가 발간한 자료들 및 핀란드 국가 교육과정 홈페이지가 제공하는 정보들, 그리고 종합학교 교육을 위한 국가 핵심 교육과정의 영문 번역본인 「National Core Curriculum for Basic Education 2014」 (FNBE, 2016)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핀란드의 시각 예술 교육과정은 일반 역량을 활용하여 교과 간의 통합을 구현하고 있으며, 둘째, 목표 차원에서 영역을 구분하여, 목표와 내용을 자연스럽게 연결하고 내용 영역 간의 연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셋째, 목표 차원의 영역과 내용 차원의 영역을 동시에 고려하는 입체적 교육과정으로 구조화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revision of Korea s national art curriculum in the future by exploring how competency education is implemented in Finland s new national visual arts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data analysis. The main documents include materials published by the Finnish Ministry of Education and Culture (MoEC) and the Finnish National Board of Education (FNB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Finnish National Curriculum website, and comprehensive school education. The English translation of the National Core Curriculum for Basic Education 2014 (FNBE, 2016) was intensively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erived. First, the Finnish visual arts curriculum utilizes general competencies to realize integration between subjects. Second, by dividing the areas at the objectives level, the objectives and content areas are naturally connected and the connection among content areas is strengthened. Third, it is structured as a three-dimensional curriculum that considers both the objectives dimension and the content areas dimension.
목차
Ⅰ. 서론
Ⅱ. 핀란드 2014 개정 국가 핵심 교육과정의 특징
Ⅲ. 핀란드 2014 개정 시각 예술(Visual Arts) 교육과정의 내용: 3∼6학년군을 중심으로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inking Routines를 활용한 미술관 감상 활동이 작품 해석능력에 미치는 영향
- 융합적 사고력 증진을 위한 굿즈(goods) 디자인 수업 연구
- 중국 1930년대 <시대만화(時代漫畵)>에서 대중 미술 계몽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핀란드 2014 개정 시각 예술(Visual Arts)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차기 미술과 교육과정의 시사점 탐색
- 초등학교 교사의 미술 교과 평가 경험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 시각적 사고 전략(VTS)을 활용한 그림책 수업에서 나타나는 심미적 감성 역량
- 국·공립미술관의 플랫폼으로서의 역할 - 어린이미술관 교육프로그램 연구 -
- 맥락주의 비평 이론에 근거한 현대미술 감상수업이 고등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영향
-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그림책 활용 미술활동 중심의 세계시민교육 방안 - 초등학교 1학년 대상으로 -
- VTS미술 감상교육이 시각적 문해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질적 연구 - 성인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
- 온라인 미술관교육에서 초등학생 자녀와 부모의 상호작용 - 국립현대미술관 어린이 대상 미술관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