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구려 출신의 승랑을 상승한 중국삼론종 제2기의 가풍 [3]
이용수 15
- 영문명
- The Scholastic Tradition of the Second Period of the S n-lú n School in China Succeed S ng-làng of Kokuryo- Focusing on the Second Patriarch S###ng-quán and His Disciple Hui-y###ng-
- 발행기관
- 한국종교교육학회
- 저자명
- 박선영(Park, Sun-young)
- 간행물 정보
- 『종교교육학연구』제11권, 7~3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0.10.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교육사의 관점에서 한국승려들의 구법(求法)을 위한 중국 유학(留學)의 실태들을 각 시기별로 정리할 필요에 따라 시작된 일련의 연구 가운데 하나이다. 그리고 고구려 출신의 승랑(僧朗)은 한국 승려들 중에서 중국 유학의 선구자 가운데 한 사람이다. 이와 같은 일련의 연구에서는 그 동안 고구려 출신의 승랑(僧朗)을 상승(相承)한 중국의 삼론학 내지 삼론종이 어떠한 과정과 각 시기에 따라 어떠한 학풍 내지 가풍을 형성해 갔는가 하는 것을 검토해 왔다. 한편, 중국의 삼론학사 내지 삼론종사에서 초조(初祖)라 할 승랑의 신삼론학(新三論學)을 계승한 제2조인 승전(僧詮)과 이 승전의 문하에서 배출된 법랑(法朗), 혜포(慧布), 지변(智辯), 혜용(慧勇) 등 네명의 철인이라 할 이른바 전공사우(詮公四友)의 시대는 중국의 삼론학사 내지 삼론종사에서 제2기에 해당한다. 이 가운데 제2조인 승전(僧詮)과 법랑의 학풍 내지 가풍에 관하여는 이미 발표한 바 있다. 따라서 승랑 상승의 중국 삼론학 내지 삼론종 제2기에서 혜포(慧布)와 혜용(慧勇) 및 지변(智辯)의 학풍 내지 실천적 수행의 특징을 아직 검토하기 못하였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아직 검토하지 못한 위의 3인 가운데 혜용(慧勇)을 중심으로 하여 제2조 승전과의 교육적 관계 속에서 승랑 상승(相承)의 중국 삼론학사 내지 삼론종사 제2기의 학풍 또는 가풍의 일면을 해명하려고 한 것이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연구의 성격
Ⅱ. 제2조 승전에게 있어서 학문과 수행의 경향
Ⅲ. 승전과 그의 제자 혜용의 학풍과 수행
Ⅳ. 학풍과 수행에 있어서 승전과 혜용의 교육적 관계- 결론을 대신하여 -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양교육과 종교교육: 학교 종교교육 ‘삶과 종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새『교리교육지침』에 따른 한국 천주교회 유아 신앙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 『샬롬, 가톨릭 유아 교리 교안집』의 한계와 착한목자 교리교육(CGS)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과제: 불교종립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