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OVID-19에 따른 비대면 온라인 노인 음악중재 경험에 관한 질적 탐구
이용수 156
- 영문명
- A Qualitative Inquiry on Experiences of the Untact Online Music Therapy Intervention for the Elderly in the COVID-19 Era
- 발행기관
-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문소영(Moon, Soyoung) 박지원(Park, Jiwon) 양수아(Yang, Sua)
- 간행물 정보
- 『예술심리치료연구』제17권 제3호, 291~31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비대면 온라인 노인 음악중재의 경험과 의미를 질적으로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둔다. 코로나19로 심리적 지원이 요구되는 3명의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음악중재를 위해 2020년 8월부터 10월까지 초기 전화면담, 실시간/비실시간 온라인 음악중재, 사후 전화면담이 진행되었다. Giorgi의 현상학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3개의 구성요소와 10개의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주요 구성요소로 온라인 세션의 심리적 부담, 온라인 세션에 적응하기, 온라인 음악중재의 심리치료 효용성이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체계적인 온라인 음악중재를 위한 다각적인 실행 전략이 제시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온라인 노인 음악중재에서 경험할 수 있는 의미와 대안, 음악을 활용한 심리치료의 가능성을 고찰함으로써 심리적 지원의 형태로 적용 가능한 비대면 음악치료의 방향성을 제안한 것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the online usic therapy for the elderly in the COVID-19 era. The on-line music therapy sessions comprising mobile interviews, Youtube sessions and Zoom platform sessions (live synchronous video conferencing system) were conducted for 3 elderly women requiring psychological support from August 2020 to October 2020. Using a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of Giorgi, 3 categories and 10 sub-categorie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ere were initial psychological burdens due to unfamiliar online sessions, trials and errors during online sessions and its managements, and therapeutic effects and benefits of online music therapy sessions and tasks towards future music therapy sessions. Based on the findings, various therapeutic strategies were determined. This indicates that online music therapy could be a viable intervention in supporting psychological health of elderl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예활동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 미디어를 활용한 미술치료의 정서적 교류와 표현의 특이성에 관한 연구
- 감정노동자의 자아강도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 양육미혼모의 미술치료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장애형제가 있는 비장애 아동과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경험한 석사학위과정생의 체험연구
- 사회성 관련 변인 중심 국내 집단미술치료 연구동향
- 라푼첼(Rapunzel) 민담의 상징을 통한 미술치유과정에 관한 존재론적 자전적 탐구
- 일반 성인들의 일상에서의 음악생활과 심리치유 기능으로서 음악사용 정서조절 전략 조사연구
- 고흐의 명화작품과 만난 미술치료사의 자전적 이야기
- 유・아동, 청소년 대상 투사 그림검사 동향 연구(2010-2020)
- COVID-19에 따른 비대면 온라인 노인 음악중재 경험에 관한 질적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