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성교육으로서의 종교교육

이용수  98

영문명
Religious Education for Moral Character Development
발행기관
한국종교교육학회
저자명
이향만(Lee, Hyang Man)
간행물 정보
『종교교육학연구』제52권, 151~16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대교육에서 새롭게 부각된 과제 가운데 하나가 인성교육이다. 현대의 교육이 취업을 위한 도구적인 교육에 치중하면서 인성교육의 역할을 상실한데 그 원인이 있다. 인성교육은 사회가 요구하는 바람직한 인격체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종교교육은 인성교육을 기본으로 삼고 있다. 따라서 종교교육은 실종된 인성교육을 회복하기 위한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다만 인성교육으로서의 종교교육은 선교나 교리교육의 차원이 아니라 보편적 인성함양의 차원에서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종교문화를 구성하는 보편적 요소가 갖는 교육적 측면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특별히 종교현상학적 관점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서사, 수행, 의례, 윤리, 사회에 내재되어있는 인성교육의 의미를 살펴보고 있다. 여기서 이미 시행되어온 전통적인 인성교육의 의미를 되짚어보고,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할 단초를 찾는데 의미를 두고 있다. 우리나라는 종교가 다양하게 발달하고 종교적 성향이 강한 문화적 특징을 갖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종교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의 회복은 이 사회가 안고 있는 내부적인 갈등을 해결하고 새로운 전망을 갖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One of the important responsibilities of modern education should be on the moral character development education of the young people. But today’s education system is mostly utilized as a tool for employment purposes, and has lost its main role in the character building process. The objective of the Moral Character Education is to cultivate the desirable personality needed for creating and maintaining a stable society. Traditionally, religious teachings are focused on moral character building process. Therefore, religious education could be used as competent modus in moral character development education. However, for moral character development through religious education, one should be very careful that the teachings should not get focused mainly on mission or purely religious perspectives but on the universal humanistic characteristics. This paper focuses on the study of the educational aspects of the universal elements inherent in the religious culture. Especially, the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significance of moral character education from a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through religious narrative, self-discipline, ritual, and ethics, which are intrinsic part of the society. It would be meaningful to retrace the persisting and prevailing connotation of traditional moral character education in finding the root for solving the problems of contemporary society. The development of religion in Korea has a unique cultural characteristic with strong religious tendencies. Therefore, it seems viable that the reinstatement of moral character development education through religious education in Korea would contribute in solving the internal social conflicts and providing a new vision to the society.

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 본론
Ⅲ. 나가는 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향만(Lee, Hyang Man). (2016).인성교육으로서의 종교교육. 종교교육학연구, 52 , 151-169

MLA

이향만(Lee, Hyang Man). "인성교육으로서의 종교교육." 종교교육학연구, 52.(2016): 151-1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