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원격수업에서의 교사 피드백: 고등학생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용수  520

영문명
Teachers’ feedback in distance learning: Focusing on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s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서봉언(Seo, Bongeon)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59권 제6호, 63~8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0.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COVID-19 상황 속 원격수업에서 받은 ‘교사의 피드백’에 관한 학생의 경험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피드백을 위한 아이디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학생의 경험을 피드백에 대한 반응, 피드백의 수용 혹은 거부, 피드백 활용의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피드백에 대한 반응은 ‘신뢰’, ‘편안함’이, 피드백의 수용 혹은 거부에는 ‘피드백 방식’, ‘피드백 수용’, ‘피드백 거부’, ‘피드백의 필요성’이, 피드백의 활용에 ‘피드백의 기능’ 등으로 총 8가지의 핵심 주제가 도출되었다. 먼저 원격수업에서 받은 교사 피드백에 대한 반응은 ‘신뢰’와 ‘편안함’으로 수렴되었으며, 유례없는 원격수업 상황이었지만, 학교의 빠른 대응으로 학교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졌음을 보고하였다. 원격수업에서 교사 피드백은 대면수업과 달리 학생들에게 눈치를 보지 않아도 되는 점에서 편안함을 제공하였다. 둘째 피드백의 수용 혹은 거부 과정을 살펴보면, 원격수업에서 교사의 역할로 ‘피드백 제공’이 매우 중요하였다. 교사 피드백의 유형과 효과는 교과마다 차이가 있었고, 온라인의 즉시성 및 익명성은 장점으로 작용하여 피드백 수용을 높이고 있었다. 또한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 존중은 피드백 수용과 거부를 결정짓는 주요한 요소가 되었다. 피드백은 교과마다 적절한 방법에 차이가 있지만, 정교화 피드백은 교정 및 결과피드백보다 유용하다고 인지하였으며, 또래 우수사례 제시를 통한 통찰력 제공 피드백이 유용하였다. 셋째, 피드백의 활용 과정을 살펴보면, 피드포워드 전략은 원격수업의 질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격수업에서 활용한 형성평가는 출석의 기능으로만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원격수업에서 학습효과를 제고하기 위해 통찰력 제공 피드백, 수정본 제출 등과 같은 피드포워드 전략과 함께 교사 피드백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적 마련 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udents’ experience and provide information for effective feedback in the COVID-19 situation.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students’ experience, eight key topics were derived in three steps of feedback process; response of feedback including ‘trust’ and ‘comfort’, acceptance and rejection of feedback including ‘feedback method’, ‘feedback acceptance’, ‘feedback rejection’, and ‘need for feedback’, and use of feedback including ‘feedback function’. First, the response to teacher feedback received in distance learning converged into trust and comfort , and it was reported that although it was an unprecedented distance learning situation, the school s rapid response increased trust in the school. Teacher feedback in distance learning provided comfort in that students did not have to consider others. Second, in the process of accepting or rejecting feedback, providing feedback was very important as a teacher s role in distance learning. The types and effects of teacher feedback differed from subject to subject, and online immediacy and anonymity acted as advantages, increasing acceptance of feedback. In addition, mutual respect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has become a major factor in determining acceptance and rejection of feedback. Elaborated feedback and providing insight through peer best practices were useful. Third, in the process of using feedback, it was found that the feedforward strateg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distance learning. The formative assessment used in distance learning was recognized only as an indicator of attendance. Feedforward strategies such as providing insights and submitting revised version, as well as institutional support to promote teacher feedback were proposed.

목차

I.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원격수업에서 고등학생이 경험한 교사 피드백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봉언(Seo, Bongeon). (2021).원격수업에서의 교사 피드백: 고등학생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59 (6), 63-86

MLA

서봉언(Seo, Bongeon). "원격수업에서의 교사 피드백: 고등학생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59.6(2021): 63-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