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폐성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사회적 상황이야기 단일 대상 중재 연구 메타분석
이용수 591
- 영문명
- A Meta-Analysis of Single-Subject Studies on Social Stories Interventions Focused on Communication Skills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발행기관
- 한국행동분석학회
- 저자명
- 채수정(Chae, Soojung)
- 간행물 정보
- 『행동분석·지원연구』제8권 제2호, 169~18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성장애 학생들의 의사소통 증진을 위하여 시행한 사회적 상황이야기 단일 대상 중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메타분석을 실시하고, WWC(2017)의 질적지표를 활용해 연구들의 질적수준을 파악하는 것이다. 국내 학술전문검색사이트에서 2000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자폐성 장애학생들의 의사소통 증진을 위해 진행된 사회적 상황이야기 연구들을 파악하여 선정기준에 따라 최종 21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주요 변인별로 연구들을 정리하여 특성들을 기록, 분석하였고, GetData Graph Digitizer 2.26를 활용하여 중재의 결과를 코딩하였으며, Tau-U 값과 Cohens’s d 값을 산출하여 효과 크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 상황이야기 중재는 의사소통 기능 증진에 중간이상의 효과 크기를 나타내어 중재 효과를 입증하였으며, 성별, 학교급, 중재자, 중재기간, 중재자료, 중재장소별로 분석한 결과에서 중간이상의 효과 크기를 나타내었다. 질적수준 분석 결과 16%의 제약 없는 중족, 84%의 제약적 충족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에 대한 논의를 하였으며 본 연구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stories interventions focused on communication skills for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rough Tau-U analysis and to determine the quality of studies through WWC(2017) criteria. By searching studies on social stories interventions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since 2000, a total of 21 studies were chosen based on the inclusion/exclusion criteria. The chosen studies were analyzed by major variabl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tudies were examined. The effect size was examined by obtaining the Tau-U and Cohen s d value.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size of the intervention of social stories focused on communication skills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as medium. Second, the effect size for each variable (eg. school levels, gender, interventioner, length of intervention, type of materials) was also medium or above. Last, as the qualitative level analysis, 16% of unconstrained midfoot and 84% of constrained satisfactory results were shown. In addition, som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consider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 및 장애위험 유아를 대상으로 한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 탐색
- 두 가지 다요소 중재가 자폐스펙트럼 장애 고등학생의 음성상동행동과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지적장애 및 자폐성 장애 아동 대상 과제 수행에 미치는 분산 강화와 누적 강화의 효과 비교
- 후진형 행동연쇄와 최대-최소 촉구가 발달장애 아동의 일상생활 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 자기관리중재전략을 포함한 자기점검표 사용이지적장애 전공과 학생의 작업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 개별시도교수 중재 시 과제 선택하기 기법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과제 회피행동에 미치는 효과
- 스마트폰 과의존 아동에 대한 가정기반의 긍정적 행동지원 효과
- 자폐성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사회적 상황이야기 단일 대상 중재 연구 메타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