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두 가지 다요소 중재가 자폐스펙트럼 장애 고등학생의 음성상동행동과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71

영문명
Effect of two multi-component interventions on vocal stereotypy and task performance of a high school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발행기관
한국행동분석학회
저자명
강소연(Kang, Soyeon)
간행물 정보
『행동분석·지원연구』제8권 제2호, 151~16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발달장애 아동들이 많이 보이는 음성상동행동 중 특히 학습 상황에서 보이는 음성상동행동에 대한 중재에 있어 다른 요소로 구성된 두 가지 다요소 중재가 음성상동행동을 감소시키는 효과에 있어 차이가 나는지 그리고 상황 맥락상 진행되는 학습 과제 활동의 수행 증가에 효과가 있는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음성상동행동을 보이는 자폐스펙트럼 장애 진단을 받은 17세 고등학생으로 병원 기반 행동치료실에서 학습 과제 시간 동안 다른 요소로 구성된 두 가지 다요소 중재가 교대중재설계(alternating treatment design)를 사용하여 시행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습 상황에서의 음성상동행동의 감소에 있어 두 가지 다요소 중재 모두 효과적이었으며, 효과 면에서 두 중재 간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다요소 중재는 음성상동행동 감소뿐만 아니라 진행되고 있던 과제 수행의 증가에서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 현장에 적용해 볼 수 있는 실제적 중재 방안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two multi-component interventions in reducing vocal stereotypy and increasing task engagement especially in learning situations amo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 was a 17-year-old high school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He had very limited communication skills and a high level of vocal stereotypy that interfered with learning. Based on an alternating treatment design, a multi-component intervention with a redirection prompt using sound and a multi-component intervention with a redirection prompt using activity engagement were conducted by behavioral therapists during learning activities in a hospital-based behavioral therapy roo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both multi-component interventions were effective not only in reducing vocal stereotypy but also in increasing task performance in learning situat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multi-component interventions in reducing vocal stereotypy.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applications of the vocal stereotypy intervention method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소연(Kang, Soyeon). (2021).두 가지 다요소 중재가 자폐스펙트럼 장애 고등학생의 음성상동행동과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행동분석·지원연구, 8 (2), 151-168

MLA

강소연(Kang, Soyeon). "두 가지 다요소 중재가 자폐스펙트럼 장애 고등학생의 음성상동행동과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행동분석·지원연구, 8.2(2021): 151-1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