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中国反兴奋剂法规体系探析
이용수 0
- 영문명
- Research on Anti‐Doping Legal System of China
- 발행기관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 저자명
- 闫 旭峰(Yan Xufeng) 谢 晓 雪(Xie Xiaoxue) 梁冰 (Liang Bing)
- 간행물 정보
-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제13권 제1호, 225~25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2.28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理想化反兴奋剂法规体系的价值特征体现在能满足反兴奋剂斗争形势的需求,在对兴奋剂的预防、教育、控制和处罚等方面发挥较大作用,具有不同效力等级的法规成龙配套、位阶分明、层次有序、上下统一的形式特征和不同方面、不同性质、不同功能的法规,门类齐全、配置得当、比例适宜、搭配均衡、左右一致的内容特征。以理想化法规体系模式为准则衡量,中国反兴奋剂法规体系存在着立法形式有断层、立法次序混乱、法规的效力等级层次较低、不同性质、不同方面的反兴奋剂立法内容不完整,分布不均衡等不足。中国反兴奋剂法规体系的建设和完善,必须重视反兴奋剂法制研究,科学设计反兴奋剂法规体系,制定严密的反兴奋剂立法规划,提高反兴奋剂立法效力等级,加快反兴奋剂立法步伐,加强反兴奋剂宣传教育和预防内容的立法。
영문 초록
A desirable anti doping legal system should be able to meet the demand of the fight against drug abuse in sports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evention, education, control measures and punishment of drug abuse. Different levels of laws and regulations are needed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and coherent legal system, covering a complete range of drug abuse cases in various fields. Compared with this standard, Chinese anti doping legal system lacks certain levels of legislations and orders of legislation are also confused. Anti doing laws and regulations only have low legal authority and are unable to cover sufficient drug abuse situations. The establishment and optimization of Chinese anti doping legal system requires us to place high values on researches, design the legal system from a scientific approach, formulate strict legislation planning, improve the legal authority of anti doping laws and regulations, quicken the pace of legislation, and strength anti doping education and preventive legislation.
목차
Ⅰ. 反兴奋剂法规体系的内涵
Ⅱ. 理想化反兴奋剂法规体系结构模式特征与构想
Ⅲ. 中国现行反兴奋剂法规体系评析
Ⅳ. 中国反兴奋剂法规体系的建设与完善
Ⅴ. 结论与建议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특수경력직공무원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장관정책보좌관제도를 중심으로
- 직무급 도입 과정에 대한 다중 사례 연구
- 초저출산에 따른 공공 인사정책 방향의 전환: 경제적 부담 완화를 위한 인사정책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