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년후기 나이듦의 인식에 관한 문헌연구
이용수 634
- 영문명
- A Study on Perception of Aging in Late Middle Age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부부가족상담협회
- 저자명
- 김신영(Kim, Sin-Young) 김영은(Kim, Young-Eun)
- 간행물 정보
- 『부부가족상담연구』제2권 제1호, 41~5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5.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우리나라도 고령사회로 접어들게 되면서 은퇴 후 길어진 노년기 삶으로 인해 나이듦에 대한 관심이 점점 더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년기 진입에 앞둔 중년 후기 세대의 나이듦의 인식이 어떠한지 기존 연구들을 통해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나이듦에 대한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최근 10년 동안 출간된 논문을 중심으로 중년후기 나이듦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최종 학위논문 15편과 학술지 11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나이듦에 대한 인식은 세 개의 하위영역으로 분류되었고, 그중 신체적 영역에서 신체적 기능 저하가 가장 높게 나이듦을 인식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심리적 영역에서는 소외감/우울감을 느낄 때 가장 많이 나이듦을 인식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사회적 영역에서는 사회적 지위/역할 상실과 대인관계 변화가 있을 때 가장 높게 나이듦을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난 10년 동안의 연구에서 중년 후기 나이듦의 인식의 변화에 대해 주목할 만한 차이는 찾아볼 수 없었지만 꾸준한 성공적 나이듦에 관한 연구로 앞으로 길어진 노년기의 삶에 변화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나이듦에 관한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시사점은 결론을 통해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Recently, as Korea enters an aging society, interest in aging is increasing due to the prolonged life of old age after retir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aging in late middle-aged adults and the direction in which research related to aging should proceed. To this end, from 2010 to 2020, focusing on domestic papers within the last ten years, we investigated the change in perception of aging. Among 408 papers on aging perception, 14 dissertations focusing on changes in aging perception and seven journal articles were analyzed. As a result, perception of aging was classified into three sub-domains, of which physical degradation was the highest recognition factor for aging in the physical domain. It was also found to recognize aging most when feeling left out and depressed in the psychological domain, and to recognize aging most when there is social status/role loss and interpersonal change in the social domain.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 has been found in studies over the past decade in perceptions of post-middle-age aging, we hope that continuous studies on perception of aging will help late middle-aged adults prepare for their aging more effectively. Lastly, we have suggestions in conclusion.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