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업 여성중간관리자의 리더십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탐구: 조직사회화 및 조직구조적 관점에서
이용수 398
- 영문명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Women Leadership in Company: Focusing 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nd Structure
- 발행기관
- 한국성인교육학회
- 저자명
- 오정주(Jungjoo Oh) 박재현(Jaehyun Park)
- 간행물 정보
- 『Andragogy Today』제24권 제2호, 37~69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5.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여성 리더 경험의 현상학적 탐구를 통해 여성리더십 기회의 장애요인과 저평가 현상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유리천장으로 대변되는 여성 리더에 대한 제약들을 문화적, 제도적 측면으로 이해하기 위해 조직사회화 및 조직구조적 관점을 중심으로 탐구하였다. 국내 대기업 여성 리더 9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질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조직 내 여성 리더의 경험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사회화 과정을 통해 여성 리더는 1) 여성에 대한 성 고정관념적 편견 2) 성 역할과 리더 역할의 상충 3) 정체성이 결여된 리더십을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여성 리더가 인식하고 있는 구조적 제약으로 1) 여성을 배제하는 비공식 네트워크 2) 여성 멘토 및 롤 모델의 부재 3) 여성에게 제약된 리더십 기회 및 훈련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국내 대기업의 여성리더십에 관한 탐색적 연구가 활발하지 않은 실정에서 조직의 문화적, 구조적 맥락으로 여성의 리더 경험을 다각적이고 심도있게 논의한 데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examined women leadership in companies from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focusing on form and function of women leaders’ experiences based 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nd structure. To these ends, the present study utilized in-depth interview of women leaders in Korean large cap companies. First, during the procedure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in their organization, women leaders reported that they had not received credit for their performance and achievement due to gender stereotypes, which hindered their growth and promotions. These women leaders experienced difficulty to assume managerial positions because their leader role did not correspond to their gender role. They felt skepticism on their leadership without identity and exhibited androgynous leadership. Second, women leaders reported their feelings of low self-efficacy, powerlessness, and resentment because of the lack of core information, resources and support at work in which male-oriented informal network dominates such resources and decision making process covertly within their male only in-group network. Women leaders experienced the lack of professional development, training opportunities, work experiences, and stereotype-based organization management, attributing paucity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for women employees to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its operational formal and informal systems. Taken together,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highlight multi-faceted experiences of women leaders in Korean large cap companies stemmed from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nd structur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 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