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G 대학교 대학생들의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업에 대한 인식 조사

이용수  842

영문명
A Survey of University of G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Remote Classes Due to Corona-19
발행기관
한국청소년상담학회
저자명
장기덕(Jang, Kee-Duck) 최성열(Choi, Sung-Yeol)
간행물 정보
『청소년상담학회지』제2권 제2호, 61~75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G대학교의 코로나 19로 인한 원격 강의에 대한 2020학년 1학기, 2학기 G대학교 대학생들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교내 온라인 설문 도구를 활용 1학기는 2020년 7월 1일~7월 5일(6일), 2학기는 2021년 1월 26일~1월 31일(6일)간 설문을 실시하여 1학기 882명, 2학기 860명이 응답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실태조사를 위해 빈도분석과 다중응답 문항의 경우 다중반응분석을 사용하였다. 문항에 따른 내용을 살펴보면 자신에 세웠던 학업 계획에 대해 학생들은 차질이 있고 차질 중에서도 전공 교과라고 응답하였다. 학업성적에 대해서는 불만족이 많았으며 강의시스템 편의성은 절반 정도의 학생이 만족하였다. 원격 강의의 만족도는 1학기에 비해 2학기에 만족하는 학생들이 많이 증가하였다. 원격 강의의 불편한 점은 1,2 학기 모두 수업 대체 과제물이 많아졌다는 것이다. 원격 강의에서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도를 높았으며 원격 강의의 장점은 녹화된 강의를 반복 청취를 할 수 있고 또한 시공간이 자유롭다고 하였다. 강의 전달에 있어서는 대면 수업이 좋았으며 원격 수업을 준비하는 교수들에 대해 학생들의 50%-60%는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전체적으로는 1학기에 비해 2학기가 전반적으로 학생들이 만족을 하였다. 후속 연구를 위해서는 수업 인식에 대해 양적 연구 외에도 심층면담 등 질적 연구를 병행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first semester and second semester of 2020 due to Corona 19, 882 students in the first semester and 860 in the second semester conducted surveys from July 1 to July 5, 2020, and from January 26 to January 31, 2021. Data analysis used the SPSS18 statistical program, and for fact-finding surveys, multiple response analysis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and multiple response questions. Looking at the contents of the question, the students responded to their academic plans that they had made as major subjects among the disruptions and disruptions. There were many complaints about academic performance, and about half of the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convenience of the lecture system.. The satisfaction level of remote lectures increased by more students satisfied with the second semester compared to the first semester. The inconvenience of remote lectures is that there have been more assignments to replace classes in both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 The opinions of students were higher in remote lectures, and the advantages of remote lectures were that they could listen to recorded lectures repeatedly and that time and space were free. Face-to-face classes were good in delivering lectures, and 50% to 60% of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to professors preparing for remote classes. Overall, students were satisfied in the second semester compared to the first semester. For follow-up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onduct qualitative studies such as in-depth interviews in addition to quantitative studies on class recognition.

목차

I.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기덕(Jang, Kee-Duck),최성열(Choi, Sung-Yeol). (2021).G 대학교 대학생들의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업에 대한 인식 조사. 청소년상담학회지, 2 (2), 61-75

MLA

장기덕(Jang, Kee-Duck),최성열(Choi, Sung-Yeol). "G 대학교 대학생들의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업에 대한 인식 조사." 청소년상담학회지, 2.2(2021): 61-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