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 오브제: 확장하는 사료와 뮤지엄 수집 개념 및 방법론 재고
이용수 350
- 영문명
- Digital Objects: A Reconsideration of the Concepts and Boundaries of Museum Collecting and Methods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 저자명
- 박주희(Juhee Park)
- 간행물 정보
- 『박물관학보』제40호, 149~17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뮤지엄의 소장품은 인류 역사문화의 증거물이며, 수집은 뮤지엄의 기본 기능 중 하나로, 뮤지엄은 과거 및 현재의 역사를 대변하는 오브제를 수집하여 미래 세대에게 전달할 의무가 있다. 디지털 기술 및 시스템에 기반하여 생성된 디지털 오브제는 오늘날의 사회, 문화, 과학기술의 단면을 반영하는 역사적 산물이며, 우리가 디지털 오브제를 사용하면서 남기게 되는 흔적들 또한 오늘날 문화 현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본 논문은 동시대 수집 맥락 상에서 디지털 오브제 수집 개념과 디지털 물질성 이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디지털 오브제를 수집하고, 기록함에 적용할 수 있는 디지털 방법론의 가능성과 쟁점을 살펴본다. 본 논문은 영미권 디지털 수집 사례 중 빅토리아 앤 알버트 뮤지엄, 런던뮤지엄, 역병이 발생한 해의 일지 프로젝트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며, 대중 참여 디지털 수집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또한 디지털 수집 과정에서 제기되는 개념적, 실천적, 제도적 쟁점이 뮤지엄의 디지털 전환과 관련해서 갖는 의미를 검토한다. 본 논문은 방법론적 해답을 제안하기 보다는 디지털 오브제 수집의 중요성과 디지털 전환 과제를 공론화하여 디지털 시대 뮤지엄의 발전적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Museum collections provide tangible evidence of human ingenuity, memories, and knowledge. The practice of collecting is one of the core functions of museums, as they have the duty to acquire and preserve significant objects from human history for future generations. Digital objects created from digital technology are historical artifacts that reflect not only contemporary science and technology, but also our society and culture. This paper starts by exploring conceptual understandings of collecting digital objects within the contexts of contemporary collecting and of digital materiality. It then examines th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f applying digital methods to digital collecting in museums. It investigates three different methods developed by the Victoria & Albert Museum, the Museum of London, and the online crowdsourcing project, A Journal of the Plague Year. This paper aims to highlight the urgency of collecting digital objects that could soon be obsolete, and to discuss the conceptual, practical, and institutional issues raised by digital collecting practices and the digital transformation in museums. In doing so,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the foundation of museums’ future plans in a digital age.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고찰
1. 동시대 수집: 현재와 미래의 대화
2. 디지털 오브제의 물질성과 뮤지엄의 수집 개념 및 방법론의 변화
Ⅲ. 디지털 수집 사례 분석
1. 영국 빅토리아 앤 알버트 뮤지엄: 선택적 수집과 연구
2. 영국 런던뮤지엄: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대중 참여 수집
3. 미국 역병이 발생한 해의 일지: 공동 권한과 책임
Ⅳ. 맺음말: 디지털 수집 및 디지털 전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박물관에서의 문화민주화에 대한 고찰 - 문화민주주의로의 전이
- 동시대 미술관의 퍼포먼스 아트 컬렉션의 지속 가능성 - 테이트 모던(Tate Modern)을 중심으로
- Surviving Together in the Global Pandemic: Museums for Social Sustainability
- 평등한 박물관은 어떻게 가능한가: 접근권의 평등과 ‘비-관람객’ / ‘배제된 자들’의 목소리를 중심으로
- KORAIL 철도박물관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 인스타그램 게시물을 통해 본 관람 경험의 사회적 현존감적 특성에 대한 연구 - 메트로폴리탄미술관, 뉴욕현대미술관, 솔로몬 R. 구겐하임미술관을 중심으로 -
- 박물관의 다층적 자료수집 방법에 대한 연구 - 소사희망원 생활공간 자료수집 과정을 중심으로 -
- 디지털 오브제: 확장하는 사료와 뮤지엄 수집 개념 및 방법론 재고
- 반구대암각화, 한반도 해양어로문화의 시원始原
- 추모 박물관 속 상실에 관하여 - 홀로코스트 박물관과 칠레 인권박물관을 중심으로 -
- 온라인 교육을 위한 어린이 체험 키트 개발연구 - 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
- 신박물관으로서 ‘버나비 빌리지 뮤지엄’에 대한 연구
- 수양개선사유물전시관의 선사문화 및 생태환경해석과 표출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