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슈생성주기에 따른 미세먼지 위험 담론
이용수 64
- 영문명
- The Discourse of the Fine Dust Risk According to the Issue Life Cycle: Comparing online news and Youtube contents
- 발행기관
- 한국광고PR실학회
- 저자명
- 최홍림(Choi, Hong-Lim) 최준혁(Junehyock Choi)
- 간행물 정보
- 『광고PR실학연구』제14권 제2호, 161~19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5.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세먼지 이슈에 대한 위험 담론을 이해를 통하여 이에 대한 불확실성 감소와 위험 감소를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위한 실증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미세먼지 이슈 추이에 따른 언론 보도와 유튜브로 대변한 소셜미디어 콘텐츠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미세먼지를 둘러싼 담론을 크래블과 비버트(Crable & Vibbert, 1985)가 제안하는 ‘이슈생명주기(Issue life Cycle)’ 에 따라 구분하고 각 매체 별 담론을 구성하는 의제, 토픽의 변화 추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미세먼지 담론은 ‘이슈생명주기’ 전 단계에 걸쳐 미세먼지 발생원인과 건강 위험성이 꾸준히 드러나고 있었다. 뉴스와 유튜브 콘텐츠는 전반적으로 유사한 담론 변화 형태를 보이고 있지만, 언론 보도에 비해 유튜브 상의 담론이 좀 더 개인, 공중에 대한 이슈에 집중하며, 정책적 논의에 있어서도 좀 더 다양하고 세부 논의로 확대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영문 초록
In the risk that conflicts due to uncertainty amplified by the risk of fine dust can intensify as a social problem, communication efforts to reduce this uncertainty and resolve the conflict are requir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n empirical foundation for communication strategies to reduce uncertainty and alleviate conflicts through understanding the risk discourse on fine dust issues. To this end, this study aims to analyze media reports and social media contents according to the trend of fine dust issues. Until now, there have been studies that have quantitatively analyzed the trend of media reports on fine dust, but few studies have analyzed social media, which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major social forum other than in-depth discourse on fine dust issues, especially traditional media reports. Therefore, this study analysed the discourse surrounding fine dust according to ‘the Issue life Cycle proposed by Crable & Vibbert (1985).
목차
문제제기
선행연구
연구방법
연구결과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치 관여도와 감성적 요인이 일본 제품의 이원태도에 미치는 영향
- 이슈생성주기에 따른 미세먼지 위험 담론
- 한류 콘텐츠의 간접/가상광고 활성화 전략에 관한 연구
- 기업 위기 관리 커뮤니케이션에서 공중 신뢰 회복과 불신 강화 차원이 부정적 위기 감정에 미치는 영향
- 아이트래커를 활용한 디지털 옥외광고 주목 행태 분석 연구
- 소셜미디어 네이티브 광고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우수 광고PR 사례] 코로나 19와 비대면 트렌드를 반영한 2020년 친환경농산물 통합 마케팅 홍보 사업
- 내용분석 (Content Analysis)을 통한 국내 기업과 정부의 코로나 관련 TV 및 인쇄 광고 비교 분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Management Review Vol.20 No.1 Contents
- Is Modernization of Public Transport in The Philippines A Boon or A Bane for The Filipino People?
- Toward a Framework for IT Utilization in Organizations: A Literature Review from the Perspective of Organizational Theor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