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간호사의 정맥주입간호실무지침의 확산정도
이용수 96
- 영문명
- Extent of Diffusion of Intravenous Infusion Nursing Practice Guideline among Nurses in Advanced General Hospital and General Hospital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근거기반간호학회
- 저자명
- 은영(Young Eun) 구미옥(Mee Ok Gu) 조용애(Young Ae Cho) 정재심(Jae Shim Jeong) 권정순(Jeong Soon Kwon) 유정숙(Cheong S
- 간행물 정보
- 『근거와 간호』제3권 제1호, 4~17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xtent of diffusion of Intravenous infusion nursing practice guideline among nurses in advanced general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in Korea. Methods: The subjects were 234 nurses who practice the intravenous infusion in 24 advanced general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October 5 and November 2, 2015 by mail (return rates: 97.5 %).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with SPSS/ WIN 21. Results: The average guideline diffusion score and levels of diffusion was 3.39±0.58 (level of “use sometimes”). 44 recommendations (46%) were in level of “use always” and 50 recommendations (53%) were in “use sometimes”. Extent of diffus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present status (F=2.81, p=.040) and education (F=4.35, p=.014). The facilitating factors to use the guideline were education by department of nursing service, convenient composition of guideline and barrier factors were “no time to use the guideline”, “don’t know the guideline” and “there is no guideline at ward”. Conclusion: Extent of diffusion of Intravenous infusion nursing practice guideline among nurses was moderate level. The strategies for promoting the implementation of guideline in clinical practice is needed. Further study of outcome evaluation of guideline implementation will be needed.
목차
서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복지계열 대학생의 직업윤리의식과 사회적 책임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옹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생산직 근로자의 수면시간이 심혈관질환 위험에 미치는 영향: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20년도) 기반으로
-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인간중심돌봄 간의 관계에서 소진과 공감역량의 매개효과
- 병원간호사가 인식하는 긍정간호조직문화, 잡크래프팅, 직무열의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