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세계시민교육 선도교사 사업 효과 분석
이용수 363
- 영문명
- The analysis of effects of a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CED) Lead Teachers Program
- 발행기관
-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 저자명
- 박환보(Park, hwanbo) 임진영(Im, jinyoung)
- 간행물 정보
- 『국제이해교육연구』제16권 제1호, 1~3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4.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부와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이 추진한 ‘세계시민교육 선도교사 사업’의 효과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세계시민교육 선도교사 사업에 참여한 교사와 일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선도교사 사업 참여에 따른 인식 변화와 사업 참여동기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선도교사 132명과 일반 교사 48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조사를 실시하고, 사전검사 결과를 공변인으로 한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세계시민교육 선도교사 사업은 교사들의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이해’, ‘세계시민교육 실천 역량’, ‘세계시민교육 활동 참여 의지’를 향상시키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교사들의 세계시민교육 실천 역량 향상을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CED) lead teachers program promo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UNESCO Asia Pacific Institute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For this purpose, a pre-and post survey was conducted for teacher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GCED lead teacher program (142) and ordinary teachers who did not (48). In order to analyze the change in perception according to the GCED lead teacher program, an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as conducted with the results of the pre-test as a covariance, and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was also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CED lead teachers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teachers’ ‘recognitio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 ability to practic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ctiviti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research discussed implications for improving teacher competency in implementing the GC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