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평화교육으로의 재구성을 위한 통일교육의 비판적 검토

이용수  397

영문명
A Critical Review of Unification Education for the Reconstruction into Peace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저자명
오덕열(Oh, Duk Lyoul) 강순원(Kang, Soon-Won)
간행물 정보
『국제이해교육연구』제16권 제1호, 33~65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남북한의 통일과 한반도의 평화 정착은 매우 복잡한 역학관계를 가진다. 특히 해방 이후의 역사적 과정을 회고해 볼 때, ‘평화’와 ‘통일’은 한반도 분단 극복이라는 역사적 과제에 있어 지속적으로 함께 논의되어야 할 교육범주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평화를 이룰 수 있는 교육적 노력의 일환으로 한국에서의 평화교육 발전 과정과 통일교육의 흐름을 살펴보고, 이질적으로 전개되어 왔던 서로의 접목 지점을 검토해 보면서, 관련 문서를 비판적으로 해독하여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평화교육으로서의 통일교육은 첫째, 한반도 평화의 문화 조성이 최우선적으로 설정되어, 평화시민성(peace-oriented citizenship) 함양이 교육 목표로 전환되어야 한다. 둘째, 도덕ㆍ윤리 교육적 성격을 넘어, 한반도 분단 상황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통해 글로벌 정의라는 적극적 평화 구현을 도모하는 목적을 지녀야 한다. 셋째, 관용과 다양성의 유네스코 평화교육 원리를 기반으로 평화교육 철학이 통일교육에 담보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inter-Korean unification and the peace-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have involved the complicated dynamic relationship. In retrospect of the post-liberation historical process, ‘peace’ and ‘unification’ are also educational categories that should be continuously discussed together in the historical task of overcoming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the critically codifying and analyzing the related documents,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of peace education in Korea and the history of unification education as part of educational efforts for the purpose of peace-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Thus, we suggest the future directions: firstly, unification education as a peace education should be set as a top priority to create a culture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cultivation of peace-oriented citizenship should be converted to educational goals. Secondly, beyond moral or ethical education, it should aim to promote the positive peace on the ground of global justice through critical thinking in the context for overcoming the division of Korean Peninsula. Thirdly, the philosophy of peace education based on the UNESCO principles of “tolerance” and “diversity” should be secured in unification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한국에서의 평화교육과 통일교육의 흐름과 전개 과정
Ⅲ. 평화교육과 통일교육의 접점, 여전히 지속되는 과제
Ⅳ. 평화교육로서의 통일교육의 방향과 과제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덕열(Oh, Duk Lyoul),강순원(Kang, Soon-Won). (2021).평화교육으로의 재구성을 위한 통일교육의 비판적 검토. 국제이해교육연구, 16 (1), 33-65

MLA

오덕열(Oh, Duk Lyoul),강순원(Kang, Soon-Won). "평화교육으로의 재구성을 위한 통일교육의 비판적 검토." 국제이해교육연구, 16.1(2021): 33-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